////
Search
🥇

영 케어러 지원 서비스 '영도지기’

PDF 보고서 다운로드
2022국민정책디자인_부산영도구_성과보고서.pdf
2013.1KB
2022국민정책디자인단_부산 영도구_발표자료.pdf
3245.2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영 케어러 지원 서비스 '영도지기'
기간: 2022년 2월 ~ 계속
주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협업: 영도구 지역자활센터,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등
예산: 2022년 5백만 원 (구비), 2023년 150백만 원 (특교세+구비)
목표:
청년층의 가족 돌봄 부담 완화
돌봄 사각지대 해소 및 청년들의 진로 탐색 기회 보장

핵심 문제 정의

청년층 돌봄 제공자(영 케어러)가 본인의 삶을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없게 만드는 돌봄 환경 및 지원 제도 부족
"영 케어러(Young Carer)"는 가족이나 친척 등 가까운 사람을 돌보는 책임을 지고 있는 어린 청소년 또는 청년층 돌봄 제공자를 의미합니다.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청년 돌봄 제공자
서비스 이용자 (1차)
학업 중단 및 사회적 고립
지역 주민
이해관계자
돌봄 지원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부족

요약

 청년 돌봄 제공자

돌봄과 생계 유지 때문에 진로 탐색과 학업 준비를 할 시간이 없습니다.

 지역 주민

영 케어러의 존재에 대해 잘 몰랐습니다. 공감할 기회도 부족했어요
돌봄 책임의 과중으로 인한 자기 계발 기회 상실
청년층 돌봄 제공자는 돌봄으로 인해 학업, 취업 준비, 자기 계발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합니다. 이는 미래 진로 탐색 및 사회적 자립을 방해합니다.
경제적 부담과 돌봄 지원 시스템 부재
영 케어러는 돌봄과 생계 유지라는 이중 부담을 겪지만, 경제적 지원 및 돌봄 서비스와 같은 공적 지원 체계가 부족하여 생활 유지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사회적 고립 및 심리적 지원 부족
돌봄 활동에 몰두하는 동안 사회적 관계 형성의 기회가 줄어들며, 이를 해결할 심리 상담 및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이 미비해 정신적 스트레스와 고립감이 심화됩니다.

디자인 콘셉트

돌봄 부담을 분담하고 자립 기반을 강화하는 통합 지원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청년 돌봄 제공자
서비스 이용자 (1차)
맞춤형 돌봄 지원, 상담 서비스 및 생활 보조
일반 주민
서비스 이용자 (2차)
지역 내 돌봄 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 및 공감대 형성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영도구청
서비스 공급자 (1차)
정책 기획 및 서비스 운영 총괄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서비스 공급자 (2차)
대상자 발굴 및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자활센터 및 외부 기관
협력 및 지원 기관
상담 서비스 및 프로그램 홍보 지원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영도지기 서비스 앱

1.
가족 돌봄 지원 서비스 연결
2.
상담 및 정서 지원 기능
3.
온라인 프로그램 안내 및 맞춤형 정보 제공

서브 솔루션: 현장 지원 프로그램

1.
돌봄 지원 자원봉사 매칭 프로그램
2.
심리 상담 프로그램
3.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오프라인 행사
4.
공공 캠페인과 홍보 자료 제작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복지 사각지대 현황 파악, 서비스디자인단 구성 및 지역 분석
결과: 기존 복지 시스템의 한계 및 영 케어러 지원 필요성 확인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필드 리서치, 심층 인터뷰 및 설문조사
결과:
문제 요소 1: 서비스 공백으로 인한 정보 접근성 부족
문제 요소 2: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취업 준비 어려움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퍼소나 및 고객 여정맵 작성
결과:
대표 퍼소나: 취업을 준비하며 가족을 돌보는 청년
주요 문제: 시간 부족, 경제적 압박, 심리적 고립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브레인스토밍 및 서비스 시나리오 작성
결과:
서비스 모델 1: 온·오프라인 서비스 제공
서비스 모델 2: 돌봄 부담 경감을 위한 인적 지원 시스템

5. 전달 및 실행

활동: 서비스 프로토타입 제작 및 시범 운영
결과: '영도지기' 앱과 오프라인 지원 프로그램 시범 운영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영도지기 서비스 앱 시범 운영

기간: 2022년 10월 ~ 12월
대상: 영선2동 지역 청년 돌봄 제공자
내용: 서비스 제공 후 모니터링 및 피드백 수집

오프라인 커뮤니티 프로그램

기간: 2022년 11월 ~ 2023년 1월
대상: 돌봄 청년 및 지역 주민
내용: 상담 및 자조모임 등 참여형 프로그램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복지 서비스 접근성
돌봄 대상자 위주의 제한적 지원
청년 돌봄 제공자까지 서비스 확대
정책 주도 방식
관 주도형 서비스
주민 참여형 서비스로 개선
사회적 인식
돌봄 문제 인식 부족
주민 공감대 형성 및 인식 개선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사용자의 피드백 반영 및 기능 최적화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 추가
2.
운영 및 관리
담당 부서 내 협업체계 강화
관련 부서 및 민간 기관과의 협업 확대
3.
홍보 및 확산
SNS 캠페인 및 언론 홍보
공공기관 및 교육기관 연계 홍보
4.
모니터링 및 평가
정기 설문조사를 통한 성과 평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개선 방안 마련
5.
지속 가능성 확보
공모사업을 통한 예산 확보
민관 협력 및 후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