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사회와 장애인의 건강 동행 솔루션 <가치 운동할래?>

PDF 보고서 다운로드
2023국민정책디자인단_서울 강남구_성과보고서.pdf
1558.3KB
2023국민정책디자인단_강남구_발표자료.pdf
6080.1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가치 운동할래
기간: 2023년 3월 ~ 12월
주관: 서울시 강남구 장애인복지과
협업: 강남장애인복지관, 어댑핏, 스타트레인, 한양여자대학교
예산: 2억 8,400만 원
목표: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건강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자립과 사회적 참여 증진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장애인 맞춤 운동 프로그램과 시설이 제한적이고, 사회적 편견과 물리적 제약으로 인해 운동에 대한 접근성과 지속성이 낮음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기존 이용자
서비스 이용자 (1차)
운동기구와 공간 부족, 프로그램 다양성 부족으로 불편함
잠재 이용자
서비스 이용자 (1차)
시설 및 정보에 대한 접근성 제한으로 운동 참여 기회 상실
휘트니스 운영자
이해관계자
장애인 안전사고와 비장애인 회원의 이탈 우려로 서비스 제공 꺼림

요약

기존 이용자

운동할 기회가 부족해요. 항상 같은 사람들이 기구를 차지하고 있어요.

잠재 이용자

사람들의 시선이 부담스럽고 정보를 찾기 어렵습니다.

운영자

사고가 나면 책임질 수 없어서 장애인을 받기 부담스럽습니다.
시설 및 프로그램 부족: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운동시설과 전문 프로그램이 부족함.
사회적 편견과 인식 부족: 장애인의 운동 참여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선과 인식이 존재함.
물리적·경제적 제약: 이동의 불편함, 경제적 부담 등으로 인해 운동 참여가 어려움.

디자인 콘셉트

맞춤형 공간 조성 및 프로그램,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장애인의 자율성과 접근성을 보장하는 운동 지원 플랫폼 조성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기존 장애인 이용자
서비스 이용자 (1차)
맞춤형 운동기구와 전문 프로그램으로 운동 경험 향상
잠재 장애인 이용자
서비스 이용자 (1차)
안전한 시설 접근 및 그룹 운동 참여를 통한 심리적 안정
일반 주민
서비스 이용자 (2차)
장애인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으로 공동체 강화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강남구청
1차 서비스 공급자
정책 기획 및 예산 지원, 프로그램 홍보 및 확산
장애인복지관
1차 서비스 공급자
프로그램 운영 및 시설 제공
어댑핏, 스타트레인
2차 서비스 공급자
장애인 맞춤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트레이너 지원
한양여자대학교
협력 및 지원 기관
아이디어 공모전 운영 및 평가 참여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무장애 체력단련실 프로그램

1.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개발
2.
전용 운동 기구 및 시설 환경 개선

서브 솔루션: 운동 문화 개선 캠페인

1.
브랜드 슬로건 '가치 운동할래' 개발
2.
홍보 콘텐츠 제작 및 배포
3.
캠페인 이벤트 운영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심층 인터뷰 및 현장 답사
결과
사용자 니즈 파악 및 공공시설 개선 필요성 확인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퍼소나 및 고객 여정 맵 작성
결과
문제 요소 1: 장애인 전용 운동시설 부족
문제 요소 2: 장애인 전문 트레이너 부족
문제 요소 3: 사회적 편견과 부정적 인식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데이터 분석 및 문제 요인 도출
결과
'안전하고 개방된 장애인 운동 환경 제공'이라는 서비스 목표 설정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아이디어 회의 및 전문가 협업
결과
프로그램 구조 및 브랜드 기획 수립

5. 전달 및 실행

활동
파일럿 프로그램 운영 및 모니터링
결과
총 6회 시범 운영 및 만족도 조사 진행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무장애 체력단련 프로그램

기간: 2023년 11월~12월
대상: 장애인 및 지역 주민
내용: 근력 운동, 스트레칭 프로그램 제공

운동 공간 공유 프로그램

기간: 2024년 예정
대상: 민간 및 공공 체육시설
내용: 유휴 공간 활용 및 공공 체육 인프라 공유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접근성
장애인 전용 시설 부족
전 지역 공공 및 민간 시설 개방 및 이용 가능
프로그램
일률적 프로그램 제공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도입
인식 개선
장애인 참여에 대한 부정적 시선
공동체 기반의 긍정적 인식 확산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시설 확충 및 프로그램 다각화
장애 유형별 운동 매뉴얼 제작
2.
운영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 인력 확충 및 교육 지원
효율적 운영 시스템 구축
3.
홍보 및 확산
SNS 및 언론 홍보 캠페인
우수 사례 공유 및 타 지역 확산
4.
모니터링 및 평가
정기적인 이용자 만족도 조사
개선 사항 반영 및 피드백 회의
5.
지속 가능성 확보
민관 협력 체계 구축
지속적인 예산 확보 및 후원 프로그램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