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보고서 다운로드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구미시 재탄생을 위한 저출생 대책 제안
•
기간: 2024년 5월 ~ 2025년 12월
•
주관: 구미시 정책기획과
•
협업: 인구청년과, 가족정책과, 일자리경제과 등 관련 부서 및 국민디자인단
•
예산:
◦
2024년: 1,300만 원
◦
2025년: 2,000만 원
◦
2026년: 1억 원 (도비 30%, 시비 70%)
•
목표: 청년층 혼인 및 출산율 상승과 양육 친화 도시 조성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청년층은 경제적 부담과 만남의 기회 부족으로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고, 경력단절 여성은 부족한 돌봄 인프라로 직장 복귀가 어려움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 구분 | 문제 상황 |
청년(결혼 적령기) | 서비스 이용자(1차) | 높은 연애·결혼 비용 부담과 만남 공간 부족 |
경력단절 여성 | 서비스 이용자(1차) | 양육 부담으로 인한 재취업 및 일상 복귀의 어려움 |
관련 부서 | 서비스 공급자(1차) | 시민 참여 부족과 공급자 중심의 정책 실행 방식 |
요약
청년(결혼 적령기)
데이트 비용이 부담돼 연애를 포기하게 돼요.
경력단절 여성
아이를 믿고 맡길 곳이 부족해서 일을 시작할 수 없어요.
•
경제적 부담: 연애와 결혼에 필요한 비용 부담으로 인해 청년들이 이를 포기하거나 미룸.
•
공간 및 기회 부족: 청년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만남의 공간과 기회가 부족함.
•
돌봄 인프라 미흡: 경력단절 여성들이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공적 돌봄 시설과 시스템이 부족함.
디자인 콘셉트
"시민 중심의 저출생 대책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 구분 | 서비스 혜택 |
청년(결혼 적령기) | 서비스 이용자(1차) | 연애 및 결혼 비용 지원, 만남의 기회 제공, 이벤트 참여 |
경력단절 여성 | 서비스 이용자(1차) | 공공산후조리원 지원, 연합 어린이집, 24시간 돌봄 서비스 |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 구분 | 역할 및 기능 |
구미시 정책기획과 | 서비스 공급자(1차) | 국민디자인단 구성 및 과제 총괄 운영 |
인구청년과 | 서비스 공급자(1차) | 청년 연애 및 결혼 장려 정책 실행 |
가족정책과 | 서비스 공급자(1차) | 육아 및 보육 지원 정책 수립 및 실행 |
보건의료정책과 | 서비스 공급자(1차) | 임산부 지원 정책 및 의료 시설 연계 |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청년 연애 및 결혼 지원 프로그램
•
커플 공간 마련 및 데이트 자금 지원
•
지역 소상공인 연계 이벤트 및 원데이 클래스 운영
서브 솔루션: 경력단절 여성 24/7 케어 프로그램
•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및 연합 어린이집 운영
•
어린이 안전 등하교 스쿨버스 지원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
활동
◦
정책 현황 공유 및 국민디자인단 구성 회의
•
결과
◦
저출생 문제 현황과 시민 의견 수렴
2. 문제 발견하기
•
활동
◦
데스크 리서치, PEST 환경 분석, 친화도 맵 작성
•
결과
◦
청년과 경력단절 여성의 구체적인 요구와 문제점 발굴
3. 문제 정의하기
•
활동
◦
페르소나 설정 및 수요자 요구 정리
•
결과
◦
서비스 목표 설정 및 주요 문제 정의
4. 아이디어 발전하기
•
활동
◦
선진지 탐방 및 사례 분석
•
결과
◦
연애 지원 프로그램과 돌봄 서비스 개선 아이디어 도출
5. 전달 및 실행
•
활동
◦
최종 보고회 및 정책 추진 협의
•
결과
◦
정책 기획서 작성 및 담당 부서 협의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 AS-IS | TO-BE |
청년층 결혼 활성화 | 연애·결혼 비용 부담과 공간 부족 | 데이트 자금 지원 및 청년 문화거리 조성 |
경력단절 여성 지원 | 공공 보육 시설 부족 및 재취업 기회 부족 | 공공산후조리원과 24시간 돌봄 시스템 도입 |
정책 실행 구조 |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 정책 추진 | 시민 참여 기반의 공감형 정책 실행 |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다양한 시민 의견 반영 및 정책 기능 확장
2.
운영 및 관리: 국민디자인단 지속 운영 및 피드백 반영
3.
홍보 및 확산: 정책 홍보 강화 및 사례 공유 세미나 개최
4.
모니터링 및 평가: 정책 성과 모니터링 및 정기 평가 실시
5.
지속 가능성 확보: 장기적 예산 확보 및 부서 협력체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