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보고서 다운로드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경력단절 여성의 경제적 자립여건 마련 - "함께 일하공, 함께 키우주"
•
기간: 2024년 5월 ~ 10월
•
주관: 충남 공주시 기획감사실, 여성가족과
•
협업: 공주대 산학협력단, 여성 새로일하기 센터
•
예산: 창업지원 37,000천 원(시비 100%), 창업교육 15,000천 원(국비 100%), 국민정책디자인 지원 14,000천 원(시비 100%)
•
목표: 경력단절 여성의 경제적 자립 및 취·창업 환경 개선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공주시 경력단절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 참여율과 정보 접근성 부족으로 인한 자립 여건 미비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 구분 | 문제 상황 |
경력단절 여성 | 서비스 이용자 (1차) | 아이 돌봄 공백으로 취·창업 준비와 경제활동 지속이 어려움 |
예비 경력단절 여성 | 서비스 이용자 (1차) |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을 우려하며 일자리 정보를 찾기 어려움 |
취업 및 창업 희망 여성 | 서비스 이용자 (1차) | 창업 및 취업 정보를 한 곳에서 얻기 힘들며 네트워킹 기회 부족 |
기업 및 고용주 | 이해관계자 | 유연하게 시간선택제를 적용할 여성 인력을 찾기 어려움 |
행정기관 및 서비스 제공자 | 서비스 제공자 | 지역 내 홍보 및 프로그램 참여율이 낮아 정책 성과가 미흡함 |
요약
경력단절 여성
아이를 맡길 곳도 없고, 취업 정보를 어디서 찾아야 할지 몰라 막막해요.
행정기관
홍보를 강화했지만 여전히 정책 참여자가 부족합니다.
기업 및 고용주
파트타임 근로자를 채용하고 싶은데, 적합한 지원자를 찾기 어렵습니다.
•
돌봄 공백 문제
◦
"아이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면, 경제활동에 제약이 생겨요."
◦
경력단절 여성들은 돌봄과 일을 병행할 환경이 부족하여 취업 기회를 잃음.
•
정보 접근성 부족
◦
창업 및 취업 정보가 여러 기관에 분산돼 있어 접근성이 낮음.
◦
공신력 있는 정보를 얻기 어렵고, 복잡한 절차로 인해 이해하기 힘듦.
•
자신감 및 역량 부족
◦
경력단절 여성들은 장기 공백으로 인해 업무 적응에 대한 불안감을 느낌.
◦
네트워킹 기회 부족으로 정보 교류와 멘토링 경험이 제한적임.
디자인 콘셉트
시간선택제 일자리 연계와 지역 기반 돌봄 네트워크 구축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 구분 | 서비스 혜택 |
경력단절 여성 | 서비스 이용자 (1차) | 맞춤형 일자리 매칭 및 돌봄 서비스 지원 |
기업 및 창업자 | 서비스 이용자 (2차) | 인턴 인력 지원 및 네트워크 참여 |
지역사회 주민 | 이해관계자 | 네트워크 프로그램 및 커뮤니티 활성화 |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 구분 | 역할 및 기능 |
공주시 기획감사실 | 1차 공급자 | 국민디자인단 조직 및 프로그램 총괄 |
공주대 산학협력단 | 2차 공급자 | 창업보육센터와 연계된 인턴십 프로그램 지원 |
여성 새로일하기 센터 | 협력 및 지원 기관 | 취창업 프로그램 안내 및 여성 네트워크 지원 |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짝꿍 인턴제 및 "함께 키우주" 서비스
1.
시간선택제 일자리 제공을 위한 인턴십 카드 발급
2.
여성회관을 취·창업 인큐베이팅 허브로 활용
3.
아이 돌봄과 일자리 매칭 플랫폼 연계
서브 솔루션: 네트워크 및 정보 제공
1.
취·창업 박람회 및 토크 콘서트 개최
2.
공주소식지 및 SNS를 통한 정보 공유
3.
지역 기반 품앗이 돌봄 서비스 제공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
활동
◦
경력단절 여성 및 이해관계자 심층 인터뷰(총 6팀)
•
결과
◦
주요 문제점으로 돌봄 공백, 정보 부족, 창업 준비 어려움 도출
2. 문제 발견하기
•
활동
◦
이해관계자 맵과 친화도 맵 작성
•
결과
◦
문제 요소 1: 대체 인력 부족으로 인한 돌봄 공백
◦
문제 요소 2: 창업 정보 접근성 및 이해도 부족
◦
문제 요소 3: 취창업 준비 과정의 자신감 결여
3. 문제 정의하기
•
활동
◦
대표 페르소나 선정 및 고객여정지도 작성
•
결과
◦
‘나주부’ 페르소나를 통해 여성들의 주요 어려움인 시간 관리와 정보 부족 문제를 시각화
4. 아이디어 발전하기
•
활동
◦
브레인라이팅(총 108건 아이디어 도출), 아이디어 스케치 및 시나리오 작성
•
결과
◦
최종 서비스 모델로 ‘우리 얼라와 함께 일해 YOU’ 및 짝꿍 인턴제 확정
5. 전달 및 실행
•
활동
◦
시나리오 및 스토리보드 제작, 프로토타이핑 발표 및 의견 수렴
•
결과
◦
최종 서비스 아이디어 개선 및 정책 반영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프로그램: 짝꿍 인턴제
•
기간: 2025년 예정
•
대상: 경력단절 여성 및 참여 기업
•
내용: 기업 내 단기 인턴십과 창업 네트워크 연계
프로그램: 통합 돌봄 서비스
•
기간: 2024년 시범 운영 후 확대 예정
•
대상: 돌봄 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
내용: 지역 커뮤니티를 통한 자조 품앗이 지원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 AS IS | TO BE |
돌봄 공백 문제 | 돌봄 대체 인력 부족 | 유연한 돌봄 서비스 제공 |
정보 접근성 | 정보 채널이 분산됨 | 공주소식지 및 통합 플랫폼으로 정보 제공 |
경력 복귀 기회 | 창업 정보 부족 및 자신감 결여 | 맞춤형 창업 및 인턴십 프로그램 강화 |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
짝꿍 인턴제 참여 기업 확장 및 네트워크 강화
•
품앗이 돌봄 서비스의 플랫폼 고도화
2.
운영 및 관리
•
공주시 여성회관 내 상설 프로그램 확대 및 운영 인력 강화
3.
홍보 및 확산
•
SNS, 현수막 및 지역 행사 활용하여 홍보 확대
•
사례집 발간 및 우수사례 공유회 개최
4.
모니터링 및 평가
•
서비스 이용자 피드백 수집 및 정책 개선
•
성과지표 기반 운영 평가 및 중장기 로드맵 수립
5.
지속 가능성 확보
•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조례’ 제정 및 전담 인력 배치
•
공주대 및 민간 기업과의 MOU 체결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