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맞춤형 건강식단, 메뉴젠

PDF 보고서 다운로드
(중앙)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_맞춤형 건강식단 메뉴젠-영양마.pdf
2862.4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맞춤형 건강식단 서비스 "메뉴젠"
기간: 2024년 4월 ~ 2024년 11월
주관: 농촌진흥청 식생활영양과
협업: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립농업과학원 기획조정과
예산: 57백만 원
목표: 노인 당뇨질환자 대상 맞춤형 영양식단을 통한 건강증진 및 시스템 개선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기존 식단 프로그램의 편의성과 접근성이 낮아, 노인 당뇨질환자의 지속적인 식단관리가 어려움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노인 당뇨질환자
서비스 이용자 (1차)
복잡한 식단 작성 프로그램으로 사용이 불편
보건소, 노인복지관
서비스 공급자
식단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자원 부족
당뇨식단 제조업체
이해관계자
당뇨식단 콘텐츠 및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

요약

 노인 당뇨질환자

직관적이고 쉬운 식단 작성 방법이 필요해요.

 보건소 관계자

교육자료와 시각화된 정보가 부족합니다.

 식품 제조업체

사용자 맞춤형 식단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디자인 콘셉트

메뉴젠 영양 데이터 기반, 보건소 및 식품업체 식단 서비스 및 교육 프로그램 개선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노인 당뇨질환자
서비스 이용자 (1차)
맞춤형 영양 식단 정보 제공 및 건강증진
보건소 및 노인복지관
서비스 공급자
시각화된 정보 및 체계적 상담 지원
식품 제조업체
서비스 이용자 (2차)
관련 식품 정보 및 식단 관리 데이터 제공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농촌진흥청
서비스 공급자 (1차)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실행 주관
보건복지부
서비스 공급자 (2차)
의료 및 건강 관련 정책 및 예산 지원
협력 전문가 (대학 및 민간 연구소)
협력 및 지원 기관
리빙랩 계획 및 건강 자문 제공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맞춤형 영양식단 관리 프로그램 "메뉴젠"

1.
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자동 분석 시스템
2.
사용자 맞춤형 식단 작성 및 평가 기능

서브 솔루션: 교육 및 홍보 활동

1.
영양사 및 조리사 대상 맞춤형 식단 교육 프로그램
2.
홍보 자료 및 유튜브 콘텐츠 제작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국민디자인단 구성 및 오리엔테이션 진행
결과: 다양한 사용자 의견 수집 및 조사 목표 설정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자료 분석, 현장조사, 인터뷰, 설문조사, 선진사례 분석
결과:
노인 당뇨질환자들의 식단 작성 어려움 확인
보건소 및 복지관의 교육 콘텐츠 부족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퍼소나 및 고객 여정 맵 작성
결과: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핵심 문제 및 행동 패턴 정의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아이디어 워크숍 및 문제 해결 방안 도출
결과:
시스템 개선: 단계별 화면 구성 및 UI 직관성 향상
홍보 강화: 메뉴젠의 직관적 명칭 및 인지도 개선
데이터 보강: 질환별 맞춤형 식단 데이터 추가

5. 전달 및 실행

활동: 프로토타입 테스트 및 서비스 시연
결과: 사용자 피드백 반영 후 최종 개선안 도출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프로그램/서비스 1: 메뉴젠 활용 리빙랩

기간: 2024년 9월 4일 ~ 2024년 9월 13일
대상: 전주 도산트 양지노인복지관 노인 당뇨질환자 12명
내용: 식단 정보 제공 전후 건강 상태 비교 및 개선 효과 분석

프로그램/서비스 2: 영양사 및 조리사 교육 프로그램

기간: 2024년 8월 21일 ~ 2024년 8월 28일
대상: 급식 영양사 및 조리 관련자 23명
내용: 맞춤형 식단 작성 및 조리 실습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사용자 편의성
복잡한 화면 구성으로 사용 어려움
단계별 직관적 화면 구성으로 편리성 향상
인지도
일반인 및 의료 관계자 인지도 부족
교육 및 홍보 확대로 인지도 92% 이상 증가
건강 관리
체계적 식단 관리 미흡
혈당 스파이크 감소 및 당화혈색소 개선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모바일 앱 버전 개발 및 인터페이스 개선
식단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2.
운영 및 관리
지역 복지기관과의 협력 강화 및 지원 체계 확립
식단 정보지 및 콘텐츠 제작 지원
3.
홍보 및 확산
유튜브 콘텐츠 제작 및 SNS 홍보 캠페인 추진
사례 발표 및 지역 커뮤니티와의 협력 확대
4.
모니터링 및 평가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서비스 개선 주기화
데이터 분석을 통한 건강 효과 지속 평가
5.
지속 가능성 확보
관련 부처 및 민간 협력 강화
교육 프로그램 지속 운영 및 확대 추진

공공서비스디자인 성과

건강효과 평가: 메뉴젠 활용 후 혈당 조절 및 식생활 개선 효과 확인
이용자 확대: 서비스 개선 이후 월평균 이용자 수 305% 증가
사회적 가치: 질병 예방으로 인한 의료비 절감 및 건강한 식문화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