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청년마실> 쉬었음청년들의 소통과 회복의 장 마련 프로젝트

PDF 보고서 다운로드
(중앙)행정안전부_[청년마실] 쉬었음청년들의 소통과 회복의 장 마련 프ᄅ.pdf
2394.9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청년마실 프로젝트 – 쉬었음 청년들의 소통과 회복의 장 마련
기간: 2024년 3월 ~ 10월
주관: 행정안전부 (미래전략담당관실, 지역디지털협력과)
협업: 스마트워크센터 9개 센터, 2030자문단
예산: 별도 예산 없음
목표: 구직단념(NEET) 전 단계에 있는 '쉬었음 청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연결 기회를 제공하고 정서적 활력을 증진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실패를 반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얻지 못해 자신감을 잃은 청년들에게 마음 편히 소통할 공간과 지원도 부족해 사회적 관계가 끊어짐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쉬었음 청년
서비스 이용자 (1차)
휴학, 졸업 후 사회 연결 단절 및 취업 스트레스로 인한 고립
학부모 및 가족
이해관계자
청년의 장기 휴식과 심리적 불안으로 인한 가족 내 부담
공무원 및 지원 기관
서비스 이용자 (2차)
정책 집행 시 구체적인 수요자 분석과 맞춤형 접근의 어려움

요약

 쉬었음 청년

졸업 후 취업 준비 시간이 길어지면 면접 때 무슨 활동을 했는지 물어보는 게 부담스러워요.

 학부모

우리 아이가 쉼 기간 동안 아무런 기회도 경험하지 못하고 있어 걱정이 됩니다.

 공무원

청년들의 취업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부족합니다.

디자인 콘셉트

청년들이 실패와 고립의 악순환을 끊고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안전한 소통 공간과 작은 성취 경험을 통해 사회적 연결을 강화하는 서비스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쉬었음 청년
서비스 이용자 (1차)
사회 연결망 강화 및 심리적 안정 지원
학부모
이해관계자
청년의 심리적 회복으로 인한 가정 내 안정성 확보
공무원
서비스 이용자 (2차)
정책 대상자의 긍정적 변화로 정책 목표 달성에 기여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미래전략담당관실
서비스 공급자 (1차)
청년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총괄
스마트워크센터
서비스 공급자 (2차)
청년 공간 제공 및 심리적 안정을 위한 장소 관리
서비스디자이너 및 전문가
협력 및 지원 기관
디자인 프로세스 및 프로그램 개선 자문 제공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스마트워크센터 청년 개방 프로그램'

1.
스마트워크센터 회의실/휴게 공간 제공
2.
프로그램 참여 시 청년 출입증 발급 및 성취 경험 인증 시스템

서브 솔루션: '청년 출근 인증 시스템'

1.
출근 횟수에 따른 명함 및 인증서 제공
2.
청년 네트워킹 행사 및 워크숍 기획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청년 문제 관련 데이터 수집 및 기존 정책 분석
결과
20대 청년 60% 이상이 “나만 뒤처진다”는 스트레스를 느낌
쉬었음 청년 수 약 44만 명(2024년 기준)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현장 인터뷰, 설문조사, 대면 회의 진행
결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취업 준비 중인 청년들의 불안 요소 파악
‘사회적 소속감’ 부재가 주요 문제로 확인됨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고객 여정 맵 작성 및 퍼소나 정의
결과
‘쉼’을 스펙이 아닌 성장의 기회로 인식하도록 할 필요성 도출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만다라트 기법을 활용한 솔루션 아이디어 도출
결과
'공간 제공', '소소한 성취 경험', '네트워킹 강화' 등 주요 키워드 도출

5. 전달 및 실행

활동
프로그램 프로토타입 제작 및 시범 운영
결과
스마트워크센터 9개소에서 청년 프로그램 시범 운영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프로그램: 청년 출근 챌린지

기간: 2025년 시범 운영 예정
대상: 휴학·졸업 후 4개월 이상 쉬고 있는 청년
내용: 스마트워크센터 출근 기록 및 성취 인증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네트워킹 이벤트

기간: 분기별
대상: 프로그램 참여자 중 출근 인증 횟수 10회 이상 청년
내용: 공무원 및 전문가와의 네트워킹 기회 제공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구직단념 청년 증가
청년 고립 증가 및 비용 발생
사회 연결 강화 및 구직 의욕 증가
정책 인지도 부족
청년 정책 참여율 저조
스마트워크센터 이용을 통한 홍보 강화
서비스 접근성 문제
신청 절차 복잡
SNS를 통한 간편 신청 절차 도입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청년들의 의견을 반영한 프로그램 기능 확장
정기적인 피드백 세션 도입
2.
운영 및 관리
스마트워크센터 추가 개소 및 지원 체계 확충
지역별 청년 정책 담당자와의 협력 강화
3.
홍보 및 확산
SNS, 블로그 등 청년 친화적 플랫폼을 통한 홍보 확대
취업 관련 플랫폼과의 협업 진행
4.
모니터링 및 평가
출석 및 참여율 통계를 통한 성과 분석
참여 후기 및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5.
지속 가능성 확보
프로그램 운영 예산 확보 방안 마련
민간 기관 및 기업과의 파트너십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