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놀이 발자국, 골든타임을 지켜줘!

PDF 보고서 다운로드
(지자체)광주광역시 동구_놀이기반 영유아 발달장애 조기개입 기부사업-놀이 ᄇ.pdf
2326.9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놀이발자국, 골든타임을 지켜줘!
기간: 2024년 3월 ~ 12월
주관: 광주광역시 동구
협업: 전남대학교병원, ET야구단 부모회,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예산: 56백만 원 (국비 6백만 원, 고향사랑기금 50백만 원)
목표: 발달장애 영유아의 조기 개입 시스템을 디자인하여 골든타임 확보 및 지속 가능한 지원 네트워크 구축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발달장애 영유아의 조기 진단 및 개입이 늦어져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는 문제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부모
서비스 이용자 (1차)
발달장애 조기 발견 및 정보 부족으로 인한 불안
공무원
이해관계자
발달장애 조기개입을 위한 체계적 정보 부족
의료 전문가
서비스 이용자 (2차)
데이터 부족으로 진단 및 개입이 지연됨

요약

 부모

우리 아이가 장애일 리가 없다는 부정과 정보 부족으로 지연됐어요.

 공무원

부모들이 진단을 늦추는 상황이 많아 골든타임을 놓치곤 합니다.

 전문가

부모가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보호자의 심리적 저항으로 조기 진단이 늦어짐
진단을 위한 정보와 연계 시스템 부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접근성 격차

디자인 콘셉트

놀이 기반 발달 추적과 동료상담 네트워크를 통한 조기 개입 솔루션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부모
서비스 이용자 (1차)
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 상태 모니터링 및 상담 지원
공무원
서비스 공급자
수요자 맞춤형 정보 전달 및 기부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
전문가
서비스 이용자 (2차)
발달 데이터 기반으로 진단 및 개입 효율성 향상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광주광역시 동구
서비스 공급자 (1차)
사업 기획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전남대학교병원
서비스 공급자 (2차)
의료 데이터 분석 및 전문가 참여
ET야구단 부모회
협력 기관
동료상담 코디네이터 지원 및 사례 공유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놀이발자국 프로그램

1.
놀이 기반 발달 관찰 프로그램
2.
부모 대상 동료 상담 코디네이터 지원
3.
헬스케어 바우처 제공 및 데이터 기반 진단 지원

서브 솔루션: 기부 및 홍보 프로그램

1.
고향사랑 지정기부 캠페인
2.
SNS 및 현장 이벤트를 통한 기부 홍보
3.
서비스디자인 과정을 시각화한 체험형 전시 및 홍보 영상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발달장애 영유아 부모 및 전문가 심층 인터뷰, 이해관계자 맵 작성
결과
부모의 심리적 저항 및 정보 부족이 주요 문제로 도출됨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인터뷰 및 친화도 맵 작성, 주요 이슈 선정
결과
문제 요소 1: 발달장애 조기 발견 및 대응 체계 부재
문제 요소 2: 비효율적인 정보 전달 및 의료 서비스 접근성 문제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페르소나 설정 및 고객 여정 맵 작성
결과
대표 페르소나: "안인정 씨"(발달장애 의심 아동 부모)
주요 페인포인트: 진단 지연으로 인한 죄책감과 불안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아이디어 워크숍 및 브레인라이팅 진행
결과
아이디어 1: 비밀 유지형 놀이기반 관찰 프로그램 도입
아이디어 2: 동료 부모 상담 코디네이터 프로그램

5. 전달 및 실행

활동
시나리오 작성 및 시범 프로그램 운영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 피드백 수렴 및 최종 개선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놀이발자국 시범사업

기간: 2024년 10월 ~ 11월
대상: 동구 관내 발달장애 심화평가 권고 아동 29명
내용:
발달 상태 관찰 및 놀이형 발달 데이터 수집
AI 기반 언어 재활 프로그램 제공
전문가 상담 및 맞춤형 헬스케어 바우처 지원

정부박람회 특별부스 전시

기간: 2024년 11월 13일 ~ 15일
대상: 박람회 관람객
내용: 서비스디자인 과정 및 놀이발자국 프로그램 체험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조기 개입 시기
평균 7.3세 발견, 11.8세 진단
평균 1세 진단 및 개입으로 골든타임 확보
서비스 접근성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서비스 접근성 차이
전 국민 대상 프로그램 확산 및 서비스 평등화
부모 지원 체계
초기 진단 및 치료 정보 부족
동료 상담 코디네이터 및 바우처 서비스 제공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놀이발자국 프로그램 고도화 및 추가 언어, 미술 치료 프로그램 개발
다국어 서비스 지원을 통한 다문화 가정 접근성 강화
2.
운영 및 관리
공공서비스 통합 시스템 연계를 통한 데이터 관리 및 모니터링 체계 강화
공무원 및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운영
3.
홍보 및 확산
고향사랑기부제와 연계된 SNS 캠페인 및 현장 홍보 행사
정부박람회 등 행사 참가를 통한 프로그램 사례 공유
4.
모니터링 및 평가
주기적인 프로그램 참여자 만족도 조사 및 성과 분석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비스 효과성 검증
5.
지속 가능성 확보
광주 지역 내 사회적 기업 및 기관과의 파트너십 확대
재원 다각화를 위한 민간 후원 및 사회성과보상사업(SIB) 연계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