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보고서 다운로드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놀이발자국, 골든타임을 지켜줘!
•
기간: 2024년 3월 ~ 12월
•
주관: 광주광역시 동구
•
협업: 전남대학교병원, ET야구단 부모회,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발달장애인지원센터
•
예산: 56백만 원 (국비 6백만 원, 고향사랑기금 50백만 원)
•
목표: 발달장애 영유아의 조기 개입 시스템을 디자인하여 골든타임 확보 및 지속 가능한 지원 네트워크 구축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발달장애 영유아의 조기 진단 및 개입이 늦어져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는 문제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 구분 | 문제 상황 |
부모 | 서비스 이용자 (1차) | 발달장애 조기 발견 및 정보 부족으로 인한 불안 |
공무원 | 이해관계자 | 발달장애 조기개입을 위한 체계적 정보 부족 |
의료 전문가 | 서비스 이용자 (2차) | 데이터 부족으로 진단 및 개입이 지연됨 |
요약
부모
우리 아이가 장애일 리가 없다는 부정과 정보 부족으로 지연됐어요.
공무원
부모들이 진단을 늦추는 상황이 많아 골든타임을 놓치곤 합니다.
전문가
부모가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
보호자의 심리적 저항으로 조기 진단이 늦어짐
•
진단을 위한 정보와 연계 시스템 부재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접근성 격차
디자인 콘셉트
놀이 기반 발달 추적과 동료상담 네트워크를 통한 조기 개입 솔루션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 구분 | 서비스 혜택 |
부모 | 서비스 이용자 (1차) | 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 상태 모니터링 및 상담 지원 |
공무원 | 서비스 공급자 | 수요자 맞춤형 정보 전달 및 기부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 |
전문가 | 서비스 이용자 (2차) | 발달 데이터 기반으로 진단 및 개입 효율성 향상 |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 구분 | 역할 및 기능 |
광주광역시 동구 | 서비스 공급자 (1차) | 사업 기획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
전남대학교병원 | 서비스 공급자 (2차) | 의료 데이터 분석 및 전문가 참여 |
ET야구단 부모회 | 협력 기관 | 동료상담 코디네이터 지원 및 사례 공유 |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놀이발자국 프로그램
1.
놀이 기반 발달 관찰 프로그램
2.
부모 대상 동료 상담 코디네이터 지원
3.
헬스케어 바우처 제공 및 데이터 기반 진단 지원
서브 솔루션: 기부 및 홍보 프로그램
1.
고향사랑 지정기부 캠페인
2.
SNS 및 현장 이벤트를 통한 기부 홍보
3.
서비스디자인 과정을 시각화한 체험형 전시 및 홍보 영상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
활동
◦
발달장애 영유아 부모 및 전문가 심층 인터뷰, 이해관계자 맵 작성
•
결과
◦
부모의 심리적 저항 및 정보 부족이 주요 문제로 도출됨
2. 문제 발견하기
•
활동
◦
인터뷰 및 친화도 맵 작성, 주요 이슈 선정
•
결과
◦
문제 요소 1: 발달장애 조기 발견 및 대응 체계 부재
◦
문제 요소 2: 비효율적인 정보 전달 및 의료 서비스 접근성 문제
3. 문제 정의하기
•
활동
◦
페르소나 설정 및 고객 여정 맵 작성
•
결과
◦
대표 페르소나: "안인정 씨"(발달장애 의심 아동 부모)
◦
주요 페인포인트: 진단 지연으로 인한 죄책감과 불안
4. 아이디어 발전하기
•
활동
◦
아이디어 워크숍 및 브레인라이팅 진행
•
결과
◦
아이디어 1: 비밀 유지형 놀이기반 관찰 프로그램 도입
◦
아이디어 2: 동료 부모 상담 코디네이터 프로그램
5. 전달 및 실행
•
활동
◦
시나리오 작성 및 시범 프로그램 운영
•
결과
◦
프로그램 참여자 피드백 수렴 및 최종 개선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놀이발자국 시범사업
•
기간: 2024년 10월 ~ 11월
•
대상: 동구 관내 발달장애 심화평가 권고 아동 29명
•
내용:
◦
발달 상태 관찰 및 놀이형 발달 데이터 수집
◦
AI 기반 언어 재활 프로그램 제공
◦
전문가 상담 및 맞춤형 헬스케어 바우처 지원
정부박람회 특별부스 전시
•
기간: 2024년 11월 13일 ~ 15일
•
대상: 박람회 관람객
•
내용: 서비스디자인 과정 및 놀이발자국 프로그램 체험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 AS IS | TO BE |
조기 개입 시기 | 평균 7.3세 발견, 11.8세 진단 | 평균 1세 진단 및 개입으로 골든타임 확보 |
서비스 접근성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서비스 접근성 차이 | 전 국민 대상 프로그램 확산 및 서비스 평등화 |
부모 지원 체계 | 초기 진단 및 치료 정보 부족 | 동료 상담 코디네이터 및 바우처 서비스 제공 |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
놀이발자국 프로그램 고도화 및 추가 언어, 미술 치료 프로그램 개발
•
다국어 서비스 지원을 통한 다문화 가정 접근성 강화
2.
운영 및 관리
•
공공서비스 통합 시스템 연계를 통한 데이터 관리 및 모니터링 체계 강화
•
공무원 및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운영
3.
홍보 및 확산
•
고향사랑기부제와 연계된 SNS 캠페인 및 현장 홍보 행사
•
정부박람회 등 행사 참가를 통한 프로그램 사례 공유
4.
모니터링 및 평가
•
주기적인 프로그램 참여자 만족도 조사 및 성과 분석
•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비스 효과성 검증
5.
지속 가능성 확보
•
광주 지역 내 사회적 기업 및 기관과의 파트너십 확대
•
재원 다각화를 위한 민간 후원 및 사회성과보상사업(SIB) 연계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