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이주민(移주민), 이주민(里주민) 되다

PDF 보고서 다운로드
(지자체)전남 영암군_이주민(移주민) 이주민(里주민) 되다.pdf
3730.7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영암군 이주민 정착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젝트
기간: 2024년 ∼ 2026년 (시범사업 후 정착)
주관: 영암군 기획감사과
협업: 인구청년정책과, 외국인주민지원센터, MC에너지(주), 다문화지원센터
예산: 총 20,000천 원 (2024년 기준)
목표: 이주민의 안정적 정착을 통해 인구감소 및 지역 소멸 문제 해결, 사회적 통합 실현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이주민이 공공서비스 정보를 쉽게 찾지 못해 지원사업과 문화 프로그램을 활용하지 못하며 지역 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운 상황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이주민
서비스 이용자 (1차)
정보 접근성 문제로 필요한 서비스를 누리지 못함
원주민
이해관계자
이주민 증가로 인한 인식 갈등 및 소외감
공공기관
서비스 이용자 (2차)
이주민 지원 프로그램 홍보 및 전달 부족

요약

 이주민

한국어가 부족해 지원 프로그램을 찾는 것이 힘들어요.

 원주민

외국인들이 늘어나며 지역이 낯설어졌어요.

 공공기관

우리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중인데 이주민들이 몰라요.
정보 제공의 언어 장벽 존재
문화적 욕구 실현의 기회 부족
홍보와 서비스 전달 체계의 미비

디자인 콘셉트

이주민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원주민과 함께 지역사회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소통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이주민
서비스 이용자 (1차)
이주생활 가이드북 및 커뮤니케이터 정보 제공
원주민
서비스 이용자 (2차)
지역 사회와의 소통 개선 및 상호 이해
공공기관
서비스 이용자 (2차)
프로그램 인지도 향상 및 사업 성과 개선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기획감사과
서비스 공급자 (1차)
사업 총괄 및 운영 지원, 공모사업 관리
외국인주민지원센터
서비스 공급자 (2차)
이주민 교육 및 지원, 커뮤니케이터 양성
다문화지원센터
협력 및 지원 기관
통번역 및 문화 교류 프로그램 지원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이주생활 가이드북

1.
다국어 정보 제공 (베트남어, 중국어, 네팔어 등)
2.
픽토그램 및 QR 코드 삽입
3.
생애주기별 지원 프로그램 안내

서브 솔루션: 이주민 커뮤니케이터 랩

1.
이주민 커뮤니케이터 양성 프로그램
2.
지역 명소 및 행사 참여 교육
3.
필드 트레이닝 및 시범 활동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이주민 현황 분석, 국민디자인단 구성
결과
영암군 이주민 9,688명, 거주 비중 18.4% (전국 평균 대비 14.7% 높음)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데스크 리서치 및 심층 인터뷰
결과
문제 요소 1: "한국어 의존도가 높아 정보를 얻기 어려움"
문제 요소 2: "문화 체험 공간 및 여가 활동 기회 부족"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페르소나 설정 및 고객 여정 맵 작성
결과
이주민의 정보 수집 여정 분석 및 문제 정의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브레인라이팅 및 아이디어 스케치
결과
아이디어 1: "이주생활 가이드북 제작"
아이디어 2: "이주민 커뮤니케이터 랩 운영"

5. 전달 및 실행

활동
프로토타입 제작 및 시범사업 운영
결과
가이드북 3개 언어 버전 제작, 커뮤니케이터 랩 3회 운영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이주생활 가이드북

기간: 2024년 10월 ∼ 12월
대상: 베트남, 네팔, 중국 출신 이주민
내용: 생애주기별 지원 프로그램 및 생활정보 제공

이주민 커뮤니케이터 랩

기간: 2024년 10월 ∼ 12월
대상: 이주민 10명
내용: 지역 명소 해설, 공공정보 전달 교육 및 시범 활동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정보 접근성
정보 수집이 어렵고 제한적
다국어 가이드북으로 정보 접근성 향상
소속감
외국인 커뮤니티 부족
이주민 커뮤니케이터 활동으로 지역 소속감 증대
서비스 참여
수동적 참여
능동적 참여 및 자립 지원 체계 구축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커뮤니케이터 랩 역할 추가 및 역량 강화 교육 확대
추가 언어 버전 가이드북 제작 (필리핀어 등)
2.
운영 및 관리
이주민 전입 시 가이드북 배포 체계 구축
협력 기관 간 데이터 공유 체계 개선
3.
홍보 및 확산
지역 행사 및 홍보 부스 운영
사례 공유 및 성과 보고서 배포
4.
모니터링 및 평가
서비스 이용자 피드백 수집 및 반영
정기 평가 및 성과 개선 회의
5.
지속 가능성 확보
민관 협력 기반 사회적 협동조합 구성
국비 및 지방비 추가 확보를 통한 장기적 운영 계획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