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국가통계포털(KOSIS) 통계 데이터 접근성 향상을 통한 국민과 한 걸음 더 가까운 KOSIS 만들기

PDF 보고서 다운로드
(중앙)통계청_국가통계포털(KOSIS) 통계 데이터 접근성 향상을 통한 국민과.pdf
2760.4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국가통계포털(KOSIS) 통계 데이터 접근성 향상을 통한 국민과 한 걸음 더 가까운 KOSIS 만들기
기간: 2024년 5월 ∼ 2024년 9월
주관: 통계청 통계서비스기획과
협업: 공공서비스디자인단(청년인턴, 정부혁신 스타터, 공공데이터 전문가), 외부 UX/UI 디자인 연구소 및 전문가
예산: 1,800만 원
목표: KOSIS의 서비스 불편사항 및 한계점을 수요자 관점에서 개선하여 중장기적 서비스 혁신 방향 설정 및 타당성 확보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공급자 중심의 비표준화된 통계표 구조로 인해 수요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찾기 어렵고 분석 활용이 제한됨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국민
서비스 이용자 (1차)
방대한 통계표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움
기업 및 연구자
이해관계자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불필요한 전처리 과정 발생
공공기관
서비스 이용자 (2차)
정책 수립 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많은 시간 소요

요약

 시민

검색어를 입력했지만 관련된 정보를 찾기 어려워요.

 기업

데이터를 결합하여 분석하기 위해 너무 많은 작업이 필요합니다.

 공공기관

정확한 지표를 찾기 위해 수많은 통계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합니다.

디자인 콘셉트

정책 수립과 데이터 활용을 위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연령, 지역, 시기 등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탐색, 결합, 시각화하여 맞춤형 분석과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통합 정보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국민
서비스 이용자 (1차)
직관적인 검색 기능과 추천 기능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손쉽게 탐색
기업 및 연구자
서비스 이용자 (2차)
데이터 비교 및 분석 기능 강화로 업무 효율성 향상
공공기관
서비스 이용자 (2차)
정책 수립에 필요한 데이터 세트를 빠르게 수집 및 분석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통계청
서비스 공급자 (1차)
통계 데이터 수집, 정제, 통합 서비스 운영
UX/UI 디자인 연구소
협력 및 지원 기관
사용자 경험 설계 및 시각화 지원
공공데이터 전문가
협력 및 지원 기관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 검토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통계 항목 중심의 검색 및 분석 기능

1.
키워드 기반 추천 검색 기능
2.
시계열 및 다중 항목 비교 기능

서브 솔루션: 모바일 최적화 서비스 제공

1.
필터링 기능을 강화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2.
맞춤형 시각화 자료 다운로드 기능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통계청 내부 및 사용자 인터뷰, KOSIS 데이터 구조 분석
결과
이용자 및 전문가 2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주요 불편사항 수집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FGI 및 IDI 수행, 고객 여정 맵 작성
결과
문제 요소 1: 키워드 입력 시 검색 결과가 과도하거나 부정확함
문제 요소 2: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 위한 필터링 기능 부족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데이터 검색 및 활용 시 문제 요인 분석
결과
공급자는 통계표 중심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나, 수요자는 항목 중심으로 데이터를 찾음으로써 발생하는 불일치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브레인스토밍 및 아이디어 워크숍
결과
아이디어 1: 통계 항목 중심의 데이터 검색 및 추천 시스템
아이디어 2: 비슷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유사 항목 추천 기능
아이디어 3: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지원 기능 강화

5. 전달 및 실행

활동
프로토타입 제작 및 사용자 피드백 수집
결과
개선된 UI/UX 디자인 및 시각화 자료를 포함한 최종 보고서 제출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통계 항목 기반 검색 서비스

기간: 2024년 8월 ~ 9월
대상: 일반 국민 및 데이터 분석 전문가
내용: 시범 서비스 제공 및 만족도 조사 진행

모바일 최적화 서비스

기간: 2024년 8월 ~ 9월
대상: 모바일 환경 사용자
내용: 필터링 기능이 강화된 검색 및 시각화 기능 제공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데이터 검색
방대한 통계표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움
항목 중심의 검색 및 추천으로 정보 탐색 용이
데이터 활용
다중 항목 비교 및 시각화 기능 미흡
다양한 데이터 비교 및 시각화 기능 지원
모바일 환경
PC 중심 서비스로 모바일 활용 불편
모바일 친화적 인터페이스 및 필터링 기능 제공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서비스 기능 개선 및 추가 기능 개발
모바일 앱 기능 최적화 및 사용자 피드백 반영
2.
운영 및 관리
데이터 표준화 및 통합 관리 체계 확립
전담 운영 인력 배치 및 협력 기관과의 연계 강화
3.
홍보 및 확산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명회 개최
성공 사례 및 홍보 자료 배포
4.
모니터링 및 평가
정기적인 만족도 조사 및 데이터 분석
서비스 개선 사항 반영을 위한 피드백 루프 운영
5.
지속 가능성 확보
장기적인 서비스 운영 계획 수립 및 예산 확보
공공 및 민간 기관과의 협력 체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