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마곡동 복합문화공간 국립북한인권센터

PDF 보고서 다운로드
(중앙)조달청_국민과 함께 모두가 행복한 공공건축 만들기-마곡동 복합.pdf
1914.6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마곡동 복합문화공간 국립북한인권센터 프로젝트
기간: 2024년 ~ 2026년
주관: 서울지방조달청
협업: 통일부 (국립북한인권센터 건립 추진단)
예산: 260억 원
목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공공건축 설계 및 북한인권 실상을 알리기 위한 복합문화공간 구축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국립북한인권센터가 지역사회 교류 및 인권 교육의 거점으로 자리 잡기 위해 접근성과 편의시설을 개선하고, ‘북한인권센터’라는 부정적 인식을 해소할 필요가 있음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주민
1차 서비스 이용자
편의시설 부족 및 폐쇄적인 건물 설계로 지역사회 교류 기회 부족
탈북민
이해관계자
북한인권 문제를 일반 시민들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함
외국 방문객
2차 서비스 이용자
인권 관련 전시 및 정보 접근성 미비

요약

주민

우리 동네에 편의시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요.

탈북민

북한 인권 문제를 더 많은 국민이 알게 되었으면 해요.

외국 방문객

방문 시 정보를 얻기 어렵고, 안내가 충분하지 않아요.

디자인 콘셉트

주민과 방문객이 쉬고 소통하며, 다양한 체험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북한 인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열린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주민
1차 서비스 이용자
지역사회 교류 및 커뮤니티 활동 공간 제공
탈북민
1차 서비스 이용자
탈북민과 시민 간 소통 프로그램 및 휴식 공간 제공
외국 방문객
2차 서비스 이용자
다국어 안내 및 국제적 교류 공간 활용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서울지방조달청
1차 서비스 공급자
설계 및 공사 관리
통일부
2차 서비스 공급자
인권 관련 콘텐츠 기획 및 운영
서비스디자인 전문가
협력 기관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및 시각화 지원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열린 공공청사 설계 및 복합문화공간

담장 없는 건물 설계로 자연스러운 동선 유도
외부 휴게공간: 바닥분수, 옥상정원
도서관형 카페 및 다목적 커뮤니티 공간

서브 솔루션: 체험형 프로그램 및 편의시설 개선

방탈출 게임 형식의 체험 프로그램
포토존 및 마스코트 설치
장애인 주차장 및 무장애 설계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이해관계자 인터뷰 및 현장조사
결과
지역 내 1인 가구 및 고령층 증가에 따른 생활 패턴 변화
기존 공공시설 부족으로 주민들의 소통 기회 부족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심층 인터뷰 및 벤치마킹 사례 분석
결과
문제 요소 1: 주민의 참여 및 공공건축에 대한 관심 부족
문제 요소 2: 탈북민과 외국인의 시설 접근성 제한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퍼소나 설정 및 고객 여정지도 작성
결과
퍼소나 예시:
마곡 주민: “주민들이 공공시설을 통해 휴식과 교류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탈북민: “일반 시민과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해요.”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아이디어 워크숍 및 브레인라이팅
결과
열린 도서관형 카페 및 VR 체험 공간 도입
다목적 회의실 및 무인 민원 발급기 설치

5. 전달 및 실행

활동
시각화 자료 및 스토리보드 작성
결과
열린 건물 외관 스케치 및 이동 동선 안내 디자인
체험형 프로그램 시나리오 작성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프로그램: 북한 인권 방탈출 체험관

기간: 연중 운영
대상: 청소년 및 일반 방문객
내용: 북한 인권 주제를 활용한 게임형 교육 프로그램

프로그램: 인권 영화제 및 문화행사

기간: 분기별 개최
대상: 일반 시민 및 탈북민 커뮤니티
내용: 영화 상영 및 관련 강연 프로그램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주민 참여도
주민들의 공공건축에 대한 무관심
주민 참여를 통한 지역 활성화
접근성
장애인 및 외국인 편의 미흡
유니버셜디자인 적용으로 접근성 개선
프로그램 다양성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부족
체험형 프로그램 및 이벤트 확대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체험 프로그램 정기 평가 및 피드백 반영
신규 프로그램 및 편의시설 개선
2.
운영 및 관리
지속적인 설계 및 공사 모니터링
담당 인력 확대 및 교육 지원
3.
홍보 및 확산
소셜미디어 및 지역 커뮤니티 홍보 강화
공공건축 투어 및 체험 행사 개최
4.
지속 가능성 확보
유지보수 및 예산 계획 마련
시민 및 민간 협력 프로그램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