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함께하는 오늘, 더 나은 내일! 100세 시대 건강연금, 사회적처방

PDF 보고서 다운로드
(지자체)광주광역시 광산구_함께하는 오늘 더 나은 내일! 100세 시대 건강연금 사.pdf
3426.2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함께하는 오늘, 더 나은 내일! 100세 시대 건강연금, 사회적처방
기간: 2024년 4월 ~ 12월
주관: 광주 광산구 통합돌봄과
협업: 호남대학교, 광주의료사협, 지역복지관, 건강관리소, KIMIRO
예산: 국민디자인운영 21.8백만 원, 사업시행예산 1,435백만 원
목표: 노후 대비를 위한 자가건강력 향상 및 상호돌봄 체계 구축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예방적 건강관리 지원과 사회적 연결이 부족해 시민들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기 어려워지면서 돌봄서비스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50대 이상 일반 시민
서비스 이용자 (1차)
건강측정만으로는 예방적 관리 부족
건강약자
서비스 이용자 (1차)
근감소증, 외로움 등으로 사회적 관계 단절
건강활동가
이해관계자
체계적 교육 및 매뉴얼 부족으로 자가건강력 지원의 어려움

요약

 일반 시민

건강 측정은 했지만 구체적인 관리 방법을 몰라요.

 건강약자

누군가와 함께하면 밤에 더 잘 잘 수 있는 것 같아요.

 건강활동가

방문할 때 확신을 가지고 지원할 수 있는 매뉴얼이 필요합니다.

디자인 콘셉트

자가건강력 향상 및 상호돌봄 체계 구축을 통한 예방적 돌봄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50대 이상 일반 시민
서비스 이용자 (1차)
건강 측정 및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건강약자
서비스 이용자 (1차)
정서적 지원 및 건강활동가 방문 서비스
건강활동가
이해관계자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를 통한 역량 강화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광산구 통합돌봄과
서비스 공급자 (1차)
사업 기획 및 프로그램 운영 관리
KIMIRO
서비스 공급자 (2차)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유지 및 데이터 제공
호남대학교
협력 및 지원 기관
서비스디자인 및 교육 프로그램 자문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사회적 처방 전달체계 구축

1.
건강 측정 및 진단 시스템 (AI 장비 활용)
2.
건강활동가 기반 상호돌봄 프로그램

서브 솔루션: 프로그램 및 건강활동가 양성

1.
개인 맞춤형 사회적 처방 프로그램 (운동, 영양, 정서 등)
2.
집단 처방 프로그램 (건강 아카데미)
3.
교육 자료 및 건강일지 매뉴얼
4.
자조모임 운영 및 네트워크 지원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지역 현황 및 돌봄 서비스 조사, 건강관리소 및 관련 기관 방문
결과
고립된 1인가구 및 건강약자가 지역 내 다수 존재하며, 사회적 처방에 대한 인지 부족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설문조사 및 인터뷰, 건강 상태 측정
결과
문제 요소 1: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수면 문제
문제 요소 2: 근감소증 및 우울감 동반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퍼소나 설정 및 고객 여정 맵 작성
결과
퍼소나: 50대 여성 (건강관리소 이용자), 70대 남성 (독거노인)
진짜 문제: "어떻게 하면 사회적 처방을 통해 주민들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더 잘 이해하고, 스스로 돌봄을 실천할 수 있을까?"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아이디어 워크숍 및 만다라트 차트 활용
결과
AI 기반 건강 데이터 시스템 연동
건강활동가를 위한 매뉴얼 및 교육 강화
집단 프로그램을 통한 관계망 강화

5. 전달 및 실행

활동
시범 프로그램 운영 및 피드백 수집
결과
개인 처방: 건강활동가 방문 프로그램
집단 처방: 건강 아카데미 및 자조모임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건강 아카데미 프로그램

기간: 2024년 7월 ~ 9월
대상: 근감소증 의심자 및 중장년층
내용: 월 3회 운동 및 영양 개선 교육

건강활동가 방문 서비스

기간: 2024년 8월 ~ 10월
대상: 건강약자 및 자가 돌봄 취약계층
내용: 2:1 방문 및 맞춤형 건강 코칭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의료-돌봄 체계
분절적, 일회성 서비스
통합적, 지속적 서비스
건강활동가 역할
단순 방문 및 안부 확인
건강 코칭 및 관계망 강화
프로그램 효과
일회성 교육
자조모임 및 지속적 참여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AI 기반 건강-돌봄 플랫폼 고도화
권역별 건강관리소 추가 구축
2.
운영 및 관리
건강활동가 자격화 프로그램 도입
자조모임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3.
홍보 및 확산
소셜 미디어 및 지역 행사 홍보
서비스 확산을 위한 사례 공유 워크숍 개최
4.
모니터링 및 평가
서비스 만족도 조사 및 피드백 수집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데이터 분석
5.
지속 가능성 확보
장기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
민관학 협력체계 지속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