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내 마음대로 흡연타임에서, 품격있는 매너타임으로 만들기

PDF 보고서 다운로드
(지자체)서울특별시 강남구_내 마음대로 흡연타임에서 품격있는 매너타임으.pdf
1436.7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내 마음대로 흡연타임에서 품격 있는 매너타임으로
기간: 2024년 5월 ~ 2025년 9월
주관: 강남구 디지털도시과
협업: 강남구 보건행정과, KT&G, 수서경찰서 등
예산: 500백만 원(2024년)
목표: 흡연자 중심의 규칙과 공간을 통해 흡연 환경 체계를 개선하여 공공장소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고 사회적 갈등을 해소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흡연자를 위한 올바른 흡연 규칙과 지정된 공간 부재로 인한 흡연자·비흡연자 간 갈등 심화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흡연자
서비스 이용자(1차)
흡연할 장소와 규칙 부재로 비흡연자 시선 의식
비흡연자
이해관계자
길거리 흡연으로 인한 간접흡연 피해
일대 상인
서비스 이용자(2차)
상점 앞 흡연 문제로 미관 및 고객 경험 악화

요약

 흡연자

흡연 구역이 없어서 숨어 피우게 돼요.

 비흡연자

길거리에서 흡연하는 사람들을 보면 숨을 참게 돼요.

 일대 상인

가게 앞 담배꽁초를 치우는 일이 일상입니다.
1.
흡연 공간 부재로 갈등 발생: 흡연자들은 정해진 장소가 없어 이면도로 등에서 흡연하며, 비흡연자와의 갈등이 지속됨.
2.
흡연 규칙 및 에티켓 부족: 공공장소에서 흡연 규칙이 부재하여 흡연자 간 비일관적인 행동 및 간접흡연 피해 증가.
3.
도시 미관 및 위생 문제: 길거리 흡연으로 인한 담배꽁초 투기 및 청결 문제로 도시 미관이 훼손됨.

디자인 콘셉트

흡연자는 지정된 공간에서만 흡연하도록 규칙을 제시하고, 공공장소에서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는 흡연 환경 체계 구축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흡연자
서비스 이용자(1차)
지정된 공간에서 편안하게 흡연 가능
비흡연자
이해관계자
길거리 간접흡연 피해 감소
상인
서비스 이용자(2차)
가게 앞 흡연 문제 완화 및 청결 개선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강남구청
서비스 공급자(1차)
정책 수립 및 흡연구역 설치, 운영 관리
수서경찰서
서비스 공급자(2차)
질서 유지 및 안전 관리
KT&G 등
협력 및 지원 기관
흡연 정보 제공 및 공공 캠페인 지원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공존형 흡연공간 조성

흡연자와 비흡연자 공간 분리를 위한 흡연 부스 설치
QR코드를 통한 담배 유해성분 정보 제공

서브 솔루션: 매너타임 캠페인

공공디자인 페스티벌에서 시범 운영 및 인식 개선 캠페인
에티켓 가이드라인과 매너타임 홍보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활동
STEEP 분석, 현장 리서치 및 인터뷰
결과
흡연 문제의 사회적·환경적 요인 확인

2. 문제 발견하기

활동
설문조사 및 관찰 조사
결과
흡연 공간 부재로 인한 갈등 확인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피해 심각성 파악

3. 문제 정의하기

활동
페르소나 설정 및 고객 여정 지도 작성
결과
"흡연자를 위한 올바른 규칙 부재"가 진짜 문제로 정의

4. 아이디어 발전하기

활동
분리형 흡연 부스 및 캠페인 아이디어 도출
결과
흡연자 그룹별 공간 솔루션(일반담배, 전자담배)
캠페인 및 가이드라인 홍보 전략

5. 전달 및 실행

활동
공공디자인 실험 및 시범 운영
결과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기간 내 이용 행태 분석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흡연부스 시범 운영

기간: 2024년 10월 ~ 11월
대상: 테헤란로 일대 흡연자 및 비흡연자
내용: 대로변과 골목형 흡연부스 설치 및 이용행태 모니터링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흡연자 인식
비흡연자의 눈치를 보며 흡연
규칙을 지키며 자발적으로 흡연공간 이용
비흡연자 피해
길거리 간접흡연 피해 발생
간접흡연 피해 감소 및 쾌적한 환경 조성
도시 미관
흡연으로 인한 담배꽁초 및 쓰레기 문제
정리된 흡연공간과 쓰레기 관리 강화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흡연시설 추가 설치 및 공간 유형 확대
흡연자 및 비흡연자 행동 개선 캠페인 강화
2.
운영 및 관리
서비스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인력 배치
정기 모니터링 및 문제점 보완
3.
홍보 및 확산
매체 및 SNS를 통한 공익 캠페인
시민 의견을 반영한 서비스 개선 사례 공유
4.
모니터링 및 평가
시범 운영 평가 및 정기 보고
데이터 기반 서비스 평가 및 개선방안 도출
5.
지속 가능성 확보
관련 예산 확보 및 민관 협력 체계 강화
장기적으로 적용할 흡연 에티켓 표준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