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보고서 다운로드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안전취약계층 노인을 위한 국민안전 서포터즈 양성 프로젝트
•
기간: 2024년 4월 ~ 10월
•
주관: 행정안전부
•
협업: 관악시니어클럽, 보건복지부, 대한적십자사, 2030자문단
•
예산: 2024년 2백만 원, 2025년 12백만 원 (국비)
•
목표: 노인 맞춤형 찾아가는 안전교육을 통해 사고 예방 및 대응 역량 강화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노인 대상 안전교육의 부족으로 인해 재난 및 사고 시 대처 능력이 낮아 높은 사망률이 발생함.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 구분 | 문제 상황 |
노인일자리 참여자 | 서비스 이용자 (1차) | 안전교육을 받을 기회 부족 및 교육 방식의 부적절성 |
안전교육 강사 | 이해관계자 | 노인 대상 전문 교안 및 강사 확보의 어려움 |
공공기관 담당자 | 서비스 이용자 (2차) | 예산과 인력 부족으로 효과적인 교육 운영 어려움 |
요약
노인 참여자
교육은 들었는데, 일상에선 기억이 잘 안 나요.
안전교육 강사
노인 전용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안이 없어 교육이 어렵습니다.
공공기관 담당자
예산과 전문 강사 확보가 힘들어 자체 교육에 그치고 있습니다.
디자인 콘셉트
찾아가는 체험형 안전교육으로 노인의 생활 안전 역량 강화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 구분 | 서비스 혜택 |
노인일자리 참여자 | 서비스 이용자 (1차) | 시각화, 체험형 안전교육으로 안전 대처 능력 향상 |
일반 노인 | 서비스 이용자 (2차) | 노인 커뮤니티 전파를 통한 안전 문화 확산 |
기관 관리자 | 서비스 이용자 (2차) | 안전교육 참여율 및 운영 평가 점수 향상 |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 구분 | 역할 및 기능 |
행정안전부 | 서비스 공급자 (1차) | 안전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관리 |
대한적십자사 | 서비스 공급자 (2차) | 응급처치 교육 지원 및 훈련 프로그램 제공 |
2030자문단 | 협력 및 지원 기관 | 청년 참여를 통한 교육 시연 및 자문 |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찾아가는 노인 맞춤형 안전교육
1.
방문형 교육: 관악시니어클럽 등 노인일자리 기관 방문
2.
체험 교육 콘텐츠: 실제 화재 경보기 및 소화기 사용 훈련
3.
교육 자료: 시각자료 및 반복 학습용 매뉴얼 배포
서브 솔루션: 국민안전 서포터즈 양성
1.
청년 대상 안전교육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2.
안전교육 플랫폼 연계 홍보 및 모집 강화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
활동
◦
노인 사고 유형 및 사망률 분석, 안전취약계층 정의 조사
•
결과
◦
노인 사망률이 교통, 추락, 익사, 화재 순으로 높음
2. 문제 발견하기
•
활동
◦
현장 인터뷰 및 간담회 개최,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결과
◦
교육 인력 부족 및 노인 전용 교육 콘텐츠 미비
◦
노인 대상 안전교육 비의무화로 인한 낮은 접근성
3. 문제 정의하기
•
활동
◦
퍼소나 및 고객여정 지도 작성
•
결과
◦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일상 속 안전사고 빈도 파악
◦
교육의 효과성 부족 및 집중도 문제 발견
4. 아이디어 발전하기
•
활동
◦
아이디어 워크숍 및 시나리오 작성
•
결과
◦
시각화 및 체험식 교육을 활용한 프로그램 제안
◦
청년-노인 세대 간 소통 증진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5. 전달 및 실행
•
활동
◦
시범사업 진행 및 프로토타이핑
•
결과
◦
관악시니어클럽에서 시범교육 후 참여자 피드백 수렴
◦
교육 보완 및 홍보 전략 수립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프로그램명: 국민안전 서포터즈 안전교육
•
기간: 2024년 9월
•
대상: 관악구 시니어클럽 노인일자리 참여자
•
내용: 체험형 교육(화재 대피 훈련, 응급처치 실습)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 AS IS | TO BE |
안전교육 접근성 | 교육 신청 방법 및 홍보 부족 | 찾아가는 방문 교육으로 참여율 증가 |
교육 방식 | 이론 중심의 단회성 교육 | 반복 학습 및 실습 중심 체험형 교육 |
노인 대처 능력 | 화재 및 응급 상황 시 대응 미숙 | 화재 경보기, 소화기 사용 경험을 통한 숙달 |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
안전교육 콘텐츠 지속 업데이트
•
시니어 디지털 교육 요소 도입 검토
2.
운영 및 관리
•
지역 단위 기관 협업 확대 및 추가 예산 확보
•
국민안전플랫폼과 연계한 홍보 강화
3.
홍보 및 확산
•
SNS 및 국민안전 서포터즈 활동 홍보 강화
•
교육 참여 후기 공유 캠페인 전개
4.
모니터링 및 평가
•
교육 참여자 만족도 조사 및 결과 분석
•
정기적인 피드백 반영 및 개선안 수립
5.
지속 가능성 확보
•
노인 안전리더 양성 프로그램 도입
•
공공기관 및 민간 협력 확대를 통한 안정적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