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보고서 다운로드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여객선 이용 경험을 활용한 연안여객선 항로 단절 방지 프로젝트
•
기간: 2024.02~2025.01
•
주관: 해양수산부 연안해운과
•
협업: 해양경찰청, 군산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해운조합, 군산시 수산식품정책과 등
•
예산: 46백만 원 (국비 26백만 원, 지방비 20백만 원)
•
목표: 연안여객선을 통한 섬 여행 활성화와 항로단절 방지를 위한 수요자 중심 서비스 개선
핵심 문제 정의
핵심 문제
여객선 서비스가 이용자 관점보다는 운영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고, 기관 간 협력이 부족해 여행객과 주민이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 구분 | 문제 상황 |
섬 주민 | 서비스 이용자 (1차) | 필수적인 교통수단인 여객선의 결항과 서비스 질 저하 문제 |
섬 여행객 | 서비스 이용자 (1차) | 불확실한 출항 정보와 부족한 편의시설 |
이해관계자 | 정책 수요자 | 운항 결손액 증가 및 서비스 개선 노력 부족 |
요약
섬 주민
항로가 끊기면 생활의 불편이 큽니다.
섬 여행객
여객선 여행은 기대되지만, 서비스와 정보 부족으로 불편합니다.
운영자
운항 손실을 줄이려면 새로운 고객 유치가 필요합니다.
디자인 콘셉트
단순한 이동 수단에서 벗어나 실시간 정보 제공, 체험 프로그램, 편의 서비스를 통해 여행을 시작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서 여객선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 구분 | 서비스 혜택 |
섬 주민 | 서비스 이용자 (1차) | 안정적인 교통 서비스 확보와 편의성 향상 |
섬 여행객 | 서비스 이용자 (1차) | 출발부터 여행의 설레임을 느낄 수 있는 경험 제공 |
잠재 여행객 | 서비스 이용자 (2차) |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통한 섬 방문 유도 |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 구분 | 역할 및 기능 |
해양수산부 | 서비스 공급자 (1차) | 과제 총괄 및 정책 지원 |
해양경찰청 | 서비스 공급자 (2차) | 안전 관리 및 비상 대응 지원 |
한국해운조합 | 협력 및 지원 기관 | 여객선 서비스 관리 및 개선 |
군산시 수산정책과 | 협력 및 지원 기관 | 관광 콘텐츠 개발 및 지역 활성화 |
세부 서비스 내용
메인 솔루션: 핫플뱃길 프로젝트
1.
터미널 접근성 개선 (쏘카존 운영)
2.
승무원 서비스 및 유니폼 개선
3.
섬 방문 콘텐츠 개발 (선상 북콘서트, 탐조 프로그램 등)
서브 솔루션: 여객선 서비스 프로그램
1.
여객선 서비스 홍보 영상 및 웹툰 제작
2.
가족 단위 여행객 맞춤 콘텐츠 개발
3.
섬 관광 패스 및 할인권 도입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1. 이해하기
•
활동
◦
관계 기관 회의 및 현장 방문, 설문조사
•
결과
◦
서비스 공급자의 기존 문제점과 이용자 경험에 대한 데이터 수집
2. 문제 발견하기
•
활동
◦
설문조사 및 인터뷰, 여객선터미널 및 선박 관찰
•
결과
◦
정보 전달 부족 및 불편한 예약 과정
◦
승선 및 하선 시 대기 시간 증가
3. 문제 정의하기
•
활동
◦
페르소나 및 고객 여정 맵 작성
•
결과
◦
여행객과 섬 주민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서비스 요건 도출
4. 아이디어 발전하기
•
활동
◦
아이디어 워크숍, 브레인스토밍
•
결과
◦
서비스 개선을 위한 체험 콘텐츠 개발
◦
섬 방문 편의성 강화 방안 제안
5. 전달 및 실행
•
활동
◦
프로토타입 제작 및 피드백 수집
•
결과
◦
서비스 개선안 현장 적용 및 평가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이핑
프로그램: 어청도 낭만뱃길 투어
•
기간: 2024.04~2024.10
•
대상: 섬 여행객 및 지역 주민
•
내용: 탐조 체험, 선상 프로그램 등
프로토타입: 여객선 내부 안내 및 디자인 개선
•
기간: 2024.10
•
대상: 여객선 승무원 및 일반 승객
•
내용: 시각 자료 개선 및 서비스 매뉴얼 보완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 AS IS | TO BE |
이용객 편의성 | 불편한 정보 제공 및 예약 시스템 | 예약 및 정보 접근성 개선 |
관광객 유치 | 섬 여행에 대한 홍보 부족 | 웹 콘텐츠 및 홍보 확대 |
서비스 일관성 | 비표준화된 승무원 서비스 | 매뉴얼화된 서비스 및 교육 시행 |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
여객선 이용 만족도 조사 및 지속적 개선
2.
운영 및 관리
•
서비스 운영 매뉴얼 배포 및 교육 프로그램 실시
3.
홍보 및 확산
•
지역 방송 및 유튜브 채널을 통한 홍보
4.
모니터링 및 평가
•
주기적인 평가 보고 및 피드백 반영
5.
지속 가능성 확보
•
지자체 및 민간 협력 확대, 장기 재정 지원 방안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