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활동의 합목적성 (30점)

각 단계별 활동으로 얻은 인사이트와 성과를 설명합니다.

이해하기 단계
"수요자의 민원 처리 경험을 관찰해 불편한 절차를 파악하고, 현장 인터뷰 15건과 설문조사 100건을 통해 주요 불편 사항을 도출했습니다."
→ 민원인의 70%가 "복잡한 서류 제출 절차로 재방문했다"고 응답
발견하기 단계
"사용자 여정을 시각화하여 문제 구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결과, 서류 제출 단계에서 대기 시간 평균 15분 연장되는 원인을 확인했습니다."
→ 필수 서류 안내 부족으로 창구 응대 비율 40% 증가
정의하기 단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문제 정의 워크숍을 진행했으며, ‘서류 제출 절차 단순화’를 주요 과제로 선정했습니다."
→ 응답자 60%가 "필요 서류 안내가 더 간단해야 한다"고 응답
발전하기 단계
"5가지 해결안을 아이데이션 워크숍에서 도출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2개의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했습니다."
→ 안내 포스터 시뮬레이션 테스트 후 주민 피드백 반영(85% 긍정 평가)
전달하기 단계
"파일럿 프로그램을 3개월 동안 운영하며, 개선된 민원 안내 절차의 효과를 주민 만족도 조사로 검증했습니다."
→ 대기 시간 평균 15분 8분 단축, 만족도 85% 달성

수요자 중심으로 문제를 분석했는지 점검합니다.

현장 조사 및 인터뷰 이해하기 단계
현장 방문을 통해 고령자 30명과 청년층 20명을 인터뷰한 결과, 대부분이 안내 표지판 글씨 크기가 작아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설문조사 결과 이해하기 단계
응답자의 70%가 ‘복잡한 서류 작성과 제출 과정’ 때문에 평균 1.5회 재방문 경험이 있다고 응답
고객 여정지도 분석 결과 발견하기 단계
서류 제출 단계에서 불명확한 정보 제공으로 창구 도움 요청률 40% 확인
문제 정의 워크숍 정의하기 단계
복잡한 서류 제출 절차가 주요 문제로 도출 (참여자 합의 90%)

수요자 중심 해결방안을 도출했는지 점검합니다.

핵심 문제
복잡한 서류 제출 절차로 민원 접수 및 응대 지연
핵심 디자인 콘셉트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접수 안내
세부 내용
 안내 포스터 표준화, 접수 창구 및 대기 공간에 절차별 시각 가이드 포함
 설명 카드 배포, 주요 제출 서류 목록과 작성 예시를 포함한 간단한 안내 카드 제공
 안내 담당자 배치, 고령자 및 초행 방문자를 위한 현장 도움 인력 추가
현장 테스트 및 피드백 반영
"3개월간 시범 운영 후 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85%가 '접수 절차가 간단해졌다'고 응답했습니다."
최종 개선 조치
"접수 창구와 대기 공간에 동일한 포스터를 배치하고, 설명 카드 200부를 배포했습니다."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각 단계별로 적절히 활용했는지 확인합니다.

 이해하기 단계

기법
심층 인터뷰 기법
배경
조사 기간: 3주
시간 제한으로 설문조사 대신 심층 인터뷰 선택
민원인별 경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사례별 데이터를 수집
차별점
경로 및 행동 기록, 방문 경로와 행동을 기록하여 고객 여정지도의 기초 데이터 확보
공급자 관점 추가, 공무원 인터뷰를 통해 양측 관점의 문제 구간 데이터 수집

발견하기 단계

기법
이중 루프 고객 여정지도
배경
워크숍 기간: 2일
매우 제한된 시간 내 문제 구간을 도출하기 위해 민원인과 공무원의 경험을 동시에 시각화할 수 있는 이중 루프 고객 여정지도를 사용
서류 제출 절차의 문제는 민원인의 불편함이 공무원의 처리 과정과 연결되기 때문에, 쌍방 여정을 함께 표시하여 문제 구간을 명확히 시각화
차별점
이해관계자 레이어, 민원인, 종합민원실, 서비스혁신과의 관점에 따라 문제 구간을 다층적으로 표시
문제 교차점 분석, "서류 누락 지점"과 "반복 피드백"이 교차 지점으로 나타나 상호작용 문제를 강조
감정 태그, 각 단계별 수요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여 문제 구간의 심각성을 시각적으로 강조

마무리 점검

최종 확인 체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