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는 매년 사업 운영 결과를 환류해, 보다 공정하고 실용적인 심사 기준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배점 항목에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는 각 기관 담당자에게 문의해 확인 바랍니다.
공공서비스디자인 우수과제 심사기준
1. 문제정의 및 목표설정 (10점)
•
과제 목적 및 추진배경 반영 여부
•
정책 수요자의 정의 및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 취지 부합 여부
•
해결방안의 달성 목표 및 과제 추진 방식의 적합성
등급 | 점수 |
매우우수 | 10점 |
우수 | 8점 |
보통 | 6점 |
다소미흡 | 4점 |
미흡 | 2점 |
2. 추진환경 (5점)
•
국민디자인단 구성의 적절성 (정책 수요자, 전문가, 국민 등)
•
기관 지원체계 및 적극적 지원 여부 (예산 확보, 홍보 실적, 컨설팅 참여 등)
등급 | 점수 |
매우우수 | 5점 |
우수 | 4점 |
보통 | 3점 |
다소미흡 | 2점 |
미흡 | 1점 |
3. 협업 및 성실성 (15점)
•
국민디자인단 회의 및 활동 실적
•
기관 간 역할 분담 및 유기적 협조체계 구축 여부
•
이해관계자의 공감과 합의 도출 여부
등급 | 점수 |
매우우수 | 15점 |
우수 | 12점 |
보통 | 9점 |
다소미흡 | 6점 |
미흡 | 3점 |
4. 활동의 합목적성 (30점)
•
서비스디자인 기법 활용 및 단계별 목적 달성 여부
•
수요자 중심 문제 해결 접근 및 실생활 적용 가능성
등급 | 점수 |
매우우수 | 30점 |
우수 | 24점 |
보통 | 18점 |
다소미흡 | 12점 |
미흡 | 6점 |
5. 혁신성 및 실효성 (20점)
•
정책 및 사업 운영 방식의 혁신성
•
혁신정책과의 연계 가능성
•
사업 기획력 및 추진력, 기대 성과의 명확성
•
정책 수요자(국민)의 만족도
등급 | 점수 |
매우우수 | 20점 |
우수 | 16점 |
보통 | 12점 |
다소미흡 | 8점 |
미흡 | 4점 |
6. 확산 및 지속가능성 (20점)
•
성과의 파급력 및 타 기관 확산 가능성
•
현장 적용 가능성과 집행 가능성
•
사업의 지속 가능성 및 개선 가능성
등급 | 점수 |
매우우수 | 20점 |
우수 | 16점 |
보통 | 12점 |
다소미흡 | 8점 |
미흡 | 4점 |
종합 배점 기준
•
총점: 100점
•
주요 배점 영역:
◦
활동과정 충실도: 45점
◦
성과 및 확산성: 40점
◦
추진 적합성: 15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