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보고서 다운로드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쉼표’ – 걱정이 아니라 즐거움으로 시작하는 국립자연휴양림
•
기간: 2024년 4월 ~ 11월
•
주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
협업: 부산광역시 장애인복지과, 국민디자인단, 디자인내일(서비스디자인 전문팀)
•
예산: 20백만 원
•
목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으로 이동약자 및 전 국민이 보편적으로 산림복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무장애 휴양 서비스 개발
핵심 문제 정의
자연휴양림 이용 과정에서 이동약자와 보호자가 모두 이용의 편리함과 정보 신뢰를 제공받지 못해 휴양 참여가 제한됨
사용자 모델 분류
유형 | 구분 | 문제 상황 |
이동약자 | 1차 수요자 | 이동의 제약으로 자연휴양림을 휴가지로 인식하지 않음 |
일반 국민 | 2차 수요자 | 장애인 여행지로 정보가 부족하여 이용을 꺼림 |
보호자 | 이해관계자 | 경사로 등에서 동행인의 보조 부담이 큼 |
요약
이동약자
경사로와 긴 이동 거리가 부담돼, 혼자 여행은 꿈도 못 꿔요.
보호자
휴식을 떠나도 계속 보조하느라 오히려 힘들어요.
일반 국민
장애인 여행지 정보가 부족해서 이용이 망설여져요.
1.
이동약자: 높은 이동 장벽과 정보 부족으로 휴양림 방문 포기
2.
보호자: 동행 부담으로 인한 휴양의 질 저하
3.
시설 접근성 부족: 단편적 시설 개선으로 통합 서비스 부족
디자인 콘셉트
"쉼표, 걱정이 아닌 즐거움으로 시작하는 산림휴양 서비스"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 구분 | 서비스 혜택 |
이동약자 | 1차 수요자 | 무장애 예약 시스템, 보조인 지원 프로그램 |
일반 국민 | 2차 수요자 | 접근성 높은 휴양림 정보 및 프로그램 확대 제공 |
보호자 | 이해관계자 | 활동 보조 서비스 및 맞춤형 정보 제공 |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 구분 | 역할 및 기능 |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 1차 서비스 공급자 | - 장애인 친화 산림휴양 서비스 기획 및 운영
- 시범 운영 및 현장 서비스 관리
- 무장애 시설 개선 및 서비스 개선
- 이용자 피드백 수렴 및 반영- 운영 매뉴얼 작성 및 배포 |
부산광역시 장애인복지과 | 2차 서비스 공급자 | - 장애인 전용 콜택시 및 단체 차량 지원
- 활동 보조 인력 제공 및 행정 협조
- 관련 인프라 구축 지원을 위한 협력 |
세부 서비스 내용
핵심 쉼표 패키지
•
예약 편의성 향상
◦
장애인 우선예약제, 직관적인 예약 페이지 개선
•
무장애 교통 지원
◦
장애인 전용 콜택시 및 단체 차량 지원
기타 서브 솔루션
•
보조인 지원 프로그램
◦
산림 체험 시 보호자를 위한 활동 보조 서비스
•
심리적 휴식 프로그램
◦
소규모 체험형 숲 해설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이해하기
현장조사 및 이해관계자 인터뷰
•
이동약자와 보호자의 불편함에 대한 문제 요소 수집
문제 발견하기
서비스 사파리 및 쉐도잉 수행
•
문제 요소 1: 지형적 제약으로 휴양에 어려움 발생
•
문제 요소 2: 보호자에게 심리적, 신체적 부담 가중
문제 정의하기
퍼소나 작성 및 고객 여정 맵 작성
•
진짜 문제: 휴양림을 휴가지로 인식하지 못하게 만드는 이동 및 보조 부담
아이디어 발전하기
워크숍을 통한 브레인스토밍 및 아이디어 발전
•
아이디어 1: 서비스명 ‘쉼표’ 및 장애인 친화 프로그램 기획
•
아이디어 2: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한 통합 서비스 모델
전달 및 실행
시각적 프로토타입 및 서비스 시나리오 제작
•
프로토타입 실행: 국립달음산자연휴양림에서 시범 운영 실시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 AS IS | TO BE |
이동약자 여행 장벽 | 지형적 제약 및 정보 부족으로 여행 포기 | 무장애 프로그램 확대 및 정보 접근성 강화 |
보호자 심리적 부담 | 동행자 부재 및 서비스 부족으로 불편함 | 보조인 지원 및 동행자 프로그램 마련 |
홍보 및 인식 부족 | 장애인 친화 인프라 정보 부족 |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이용 후기 공유 및 홍보 강화 |
향후 계획
•
서비스 개선
◦
장애인 이동약자를 위한 프로그램 확장 및 맞춤형 안내 서비스 강화
•
운영 및 관리
◦
휴양림 운영 매뉴얼 작성 및 피드백 수렴 절차 강화
•
홍보 및 확산
◦
대국민 공모전 및 캠페인을 통한 참여 유도
◦
SNS 및 무장애 관광 홈페이지를 활용한 서비스 홍보
•
모니터링 및 평가
◦
설문조사를 통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및 피드백 반영
•
지속 가능성 확보
◦
관련 지자체 및 기관과의 협업 체계 구축 및 예산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