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보고서 다운로드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세종 청년 정착 지원을 위한 통계 분석 서비스
•
기간: 2024년 5월 ~ 12월
•
주관: 충청지방통계청
•
협업: 세종특별자치시,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이너 등
•
예산: 18백만 원
•
목표: 청년들의 체감 문제를 반영한 맞춤형 통계지표를 통해 정책 실효성 강화
핵심 문제 정의
청년 정책 수립과 실행 시, 데이터 기반 수요 반영 및 피드백 체계 부족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 구분 | 문제 상황 |
정책 담당자 | 서비스 이용자 (1차) | - 청년 정책 설계 시 데이터 활용 및 수요 반영 어려움
- 현장 피드백 수집 및 프로그램 운영 시 통계 기반 근거 부족 |
청년 정책 수혜자 | 최종 수요자 | 청년 정책 정보 부족 및 정책 참여 기회 제한 |
요약
정책 담당자
청년들의 실제 수요를 반영할 데이터를 모으기 어렵습니다.
청년 시민
기존 정책과 프로그램에 공감이 안 되고, 어떤 프로그램이 있는지 모르겠어요.
•
청년 정책의 수요 반영과 참여 접근성 부족
•
정책 효과 모니터링 및 데이터 기반 피드백 체계 미흡
•
프로그램 운영 시 현장 피드백 수집 채널 부재
디자인 콘셉트
"청년들이 공감하는 정책 기획을 위한 맞춤형 통계 지표 설계"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 구분 | 서비스 혜택 |
세종지역 청년 | 서비스 이용자 (1차) | 지역 일자리 매칭, 여가 프로그램 제공 등 맞춤형 정책 혜택 |
부모 및 보호자 | 서비스 이용자 (2차) | 청년의 주거 안정 및 근로 정보를 통한 생활 지원 정보 제공 |
지역 커뮤니티 | 이해관계자 | 청년 참여 프로그램 홍보 및 네트워킹 활성화 |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 구분 | 역할 및 기능 |
세종특별자치시 | 서비스 공급자 (1차) | 맞춤형 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
충청지방통계청 | 서비스 공급자 (2차) | 청년 관련 데이터 수집 및 정책 분석 자료 제공 |
세부 서비스 내용
핵심 맞춤형 통계 지표 도출
•
구성: 4개 부문, 총 55개 지표
1.
일자리: 구직 직종, 취업률, 임금 수준
2.
문화·여가: 시설 이용 빈도, 만족도
3.
주거: 주거 형태, 전월세 지원 참여율
4.
건강: 삶의 만족도, 건강 상태
응용 통계 기반 맞춤형 프로그램
•
일자리: 시간 선택제 근로, 자격증 취득 지원
•
문화·여가: 주말 청년 바우처, 액티비티 챌린지
•
정착 지원: 전입 청년 탐방 프로그램, 네트워킹 행사
•
데이터 시각화: 인포그래픽 및 카드뉴스 제작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이해하기
공공서비스디자인단 구성 및 킥오프 워크숍
•
정책 수요자(청년)와 이해관계자(공무원, 전문가)의 기대와 역할 파악
문제 발견하기
설문조사(참여자 59명), 인터뷰
•
일자리(72.9%), 문화·여가(54.2%) 분야가 최우선 과제로 도출됨
문제 정의하기
사용자 모델 작성 및 주요 문제 도출
•
일자리 문제: 고용 불안정성, 워라밸 미흡
•
문화·여가 문제: 지역 내 여가 인프라 부족
아이디어 발전하기
브레인 라이팅, 워크숍을 통해 정책 아이디어 도출
•
일자리 분야:
◦
근무 시간 선택제 프로그램
◦
단계적 주거 지원
•
문화·여가 분야:
◦
주말 청년 티켓(바우처) 제공
◦
액티비티 챌린지 프로그램
전달 및 실행
맞춤형 통계지표(4개 부문, 55개 지표) 도출
•
인구·가구: 청년 인구 비율, 부모 동거 여부 등
•
일자리: 구직 희망 지역 및 직종, 월평균 임금
•
문화·여가: 청년 국내 여행 횟수, 여가 활동 만족도
•
건강: 삶의 만족도, 우울증 진료 현황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 As-Is (현황) | To-Be (개선 목표) |
정책 수립 프로세스 | 청년 수요 반영 부족,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어려움 | 맞춤형 통계 지표 활용으로 정책 효과 모니터링 가능 |
일자리 지원 정책 | 실효성 검증 어려움, 창업·네트워킹 기회 부족 | 구직 직종·임금 수준 반영, 수요 맞춤형 정책 도입 |
문화·여가 프로그램 | 프로그램 참여율 저조, 외부 지역 이동 필요 | 주말 청년 바우처 제공 및 지역 행사 확대 |
정책 홍보 및 시각화 | 보고서 위주 자료 배포로 접근성 낮음, 정책 홍보 부족 | 카드뉴스·인포그래픽 활용으로 소통·홍보 강화 |
향후 계획
•
지표 시각화: 인포그래픽 및 카드뉴스로 데이터 이해도 향상
•
통계 활용 교육: 청년 정책 제안자 대상 데이터 교육 프로그램 운영
•
확장 계획: 아동, 노인 등 다양한 정책 수요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