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보고서 다운로드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소방 출동데이터 활용,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사고 저감
•
기간: 2024년 4월 ~ 11월
•
주관: 소방청
•
협업기관: 농촌진흥청,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등
•
예산: 27백만 원 (국민디자인단 운영 6백만 원 포함)
•
목표: 농촌 안전사고 문제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안전대책 수립
핵심 문제 정의
농촌 현장에서 나홀로 작업 중 발생하는 사고 시 신속한 신고와 구조 요청이 어려워 사고 피해가 증가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 구분 | 문제 상황 |
고령 농업인 | 서비스 이용자 (1차) | 나홀로 작업 중 사고 발생 시 즉각 신고 어려움 |
출동대원 | 이해관계자 | 사고 위치 파악이 어려워 구조 지연 발생 |
일반 차량 운전자 | 이해관계자 | 야간에 농기계를 인지하지 못해 교통사고 위험 증가 |
요약
고령 농업인
논밭에서 혼자 작업하다 다치면 도움을 받을 방법이 없어요.
출동대원
현장에 도착했을 때 사고 지점을 찾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운전자
농기계를 도로에서 갑자기 보게 되면 피하기 어렵습니다.
•
농기계 사고 시 즉각 구조 요청 및 신고 어려움
•
사고 현장 위치 파악의 어려움과 출동 지연
•
농기계 도로 주행 시 시인성 부족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 위험
디자인 콘셉트
"데이터와 IoT 기술을 활용한 농촌 현장 사고 신속 대응 및 안전 개선"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 구분 | 서비스 혜택 |
고령 농업인 | 서비스 이용자(1차) | - IoT 기반 자동 신고 시스템
- 안전 교육 |
운전자 | 서비스 이용자(2차) | 내비게이션 경고 알림 수신 |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 구분 | 역할 및 기능 |
소방청 | 서비스 공급자(1차) | 정책 수립 및 데이터 분석 |
출동대원 | 서비스 공급자(2차) | 정확한 사고 위치 제공 및 대응 훈련 |
농촌진흥청 | 협력 기관 | 안전대책 관련 자료 제공 |
현대오토에버 등 | 협력 기관 | 내비게이션 기술 적용 및 데이터 연동 지원 |
세부 서비스 내용
농기계 사고 알림 서비스
•
IoT 기반 안전장치: 자동 신고 및 위치 추적 시스템
•
교통사고 방지 장치: 내비게이션 팝업 알림 기능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이해하기
소방 출동데이터 분석 및 이해관계자 인터뷰
•
농촌 안전사고 특성 및 기존 대책 파악
문제 발견하기
데이터 분석 및 심층 인터뷰
•
주요 위험요인 확인 (예: 고령 농업인의 인지능력 부족)
3. 문제 정의하기
퍼소나 및 사용자 여정지도 작성
•
문제점 1: 농기계 안전장치 미비
•
문제점 2: 교통사고 시 농기계 인지 어려움
4. 아이디어 발전하기
아이디어 워크숍 및 관계부처 협의
•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응급비상벨 등 개선 아이디어 도출
5. 전달 및 실행
서비스 원칙 정립 및 시각화
•
관계기관 협업을 통한 실행계획 수립 및 성과 확산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입
119 신고 시스템 연동
•
농기계 사고 자동 신고 시범 운영
농기계 안전장치 개선
•
손잡이 보호캡, 냉각수 화상 방지 장치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 AS IS | TO Be |
자동 신고 시스템 | 수동 신고로 인한 신고 지연 | 사고 발생 시 즉각 자동 신고 시스템 구축 |
안전장치 개선 | 농기계 손잡이, 냉각수 장치 미흡 | 보호캡 적용 및 열 변색 페인트 도입 |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
농업인 중심 교육 강화
•
사고 유형별 추가 데이터 분석
2.
운영 및 관리:
•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
•
민간 내비게이션 업체 협력 확대
3.
홍보 및 확산:
•
카드뉴스 및 SNS 홍보 강화
4.
모니터링 및 평가:
•
성과 보고 및 개선사항 피드백 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