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소방 출동데이터 활용,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사고 저감

PDF 보고서 다운로드
12(중앙)소방청_소방 출동데이터 활용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사고 저감.pdf
1807.2KB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소방 출동데이터 활용,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사고 저감
기간: 2024년 4월 ~ 11월
주관: 소방청
협업기관: 농촌진흥청,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등
예산: 27백만 원 (국민디자인단 운영 6백만 원 포함)
목표: 농촌 안전사고 문제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안전대책 수립

핵심 문제 정의

농촌 현장에서 나홀로 작업 중 발생하는 사고 시 신속한 신고와 구조 요청이 어려워 사고 피해가 증가

서비스 수요자

사용자 유형
구분
문제 상황
고령 농업인
서비스 이용자 (1차)
나홀로 작업 중 사고 발생 시 즉각 신고 어려움
출동대원
이해관계자
사고 위치 파악이 어려워 구조 지연 발생
일반 차량 운전자
이해관계자
야간에 농기계를 인지하지 못해 교통사고 위험 증가

요약

 고령 농업인

논밭에서 혼자 작업하다 다치면 도움을 받을 방법이 없어요.

 출동대원

현장에 도착했을 때 사고 지점을 찾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운전자

농기계를 도로에서 갑자기 보게 되면 피하기 어렵습니다.
농기계 사고 시 즉각 구조 요청 및 신고 어려움
사고 현장 위치 파악의 어려움과 출동 지연
농기계 도로 주행 시 시인성 부족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 위험

디자인 콘셉트

"데이터와 IoT 기술을 활용한 농촌 현장 사고 신속 대응 및 안전 개선"

서비스 이용자 구조

유형
구분
서비스 혜택
고령 농업인
서비스 이용자(1차)
- IoT 기반 자동 신고 시스템 - 안전 교육
운전자
서비스 이용자(2차)
내비게이션 경고 알림 수신

서비스 공급자 구조

유형
구분
역할 및 기능
소방청
서비스 공급자(1차)
정책 수립 및 데이터 분석
출동대원
서비스 공급자(2차)
정확한 사고 위치 제공 및 대응 훈련
농촌진흥청
협력 기관
안전대책 관련 자료 제공
현대오토에버 등
협력 기관
내비게이션 기술 적용 및 데이터 연동 지원

세부 서비스 내용

농기계 사고 알림 서비스

IoT 기반 안전장치: 자동 신고 및 위치 추적 시스템
교통사고 방지 장치: 내비게이션 팝업 알림 기능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이해하기

소방 출동데이터 분석 및 이해관계자 인터뷰
농촌 안전사고 특성 및 기존 대책 파악

문제 발견하기

데이터 분석 및 심층 인터뷰
주요 위험요인 확인 (예: 고령 농업인의 인지능력 부족)

3. 문제 정의하기

퍼소나 및 사용자 여정지도 작성
문제점 1: 농기계 안전장치 미비
문제점 2: 교통사고 시 농기계 인지 어려움

4. 아이디어 발전하기

아이디어 워크숍 및 관계부처 협의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응급비상벨 등 개선 아이디어 도출

5. 전달 및 실행

서비스 원칙 정립 및 시각화
관계기관 협업을 통한 실행계획 수립 및 성과 확산

파일럿 프로그램 및 프로토타입

119 신고 시스템 연동

농기계 사고 자동 신고 시범 운영

농기계 안전장치 개선

손잡이 보호캡, 냉각수 화상 방지 장치

성과 및 기대 효과

항목
AS IS
TO Be
자동 신고 시스템
수동 신고로 인한 신고 지연
사고 발생 시 즉각 자동 신고 시스템 구축
안전장치 개선
농기계 손잡이, 냉각수 장치 미흡
보호캡 적용 및 열 변색 페인트 도입

향후 계획

1.
서비스 개선:
농업인 중심 교육 강화
사고 유형별 추가 데이터 분석
2.
운영 및 관리: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
민간 내비게이션 업체 협력 확대
3.
홍보 및 확산:
카드뉴스 및 SNS 홍보 강화
4.
모니터링 및 평가:
성과 보고 및 개선사항 피드백 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