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종 후 남은 종자 팔지말고 씨드박스 에 기부하세요 〉
제출기관: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부서/부
담당자: ○○○ 사무관
연락처: 012-345-6789
전자우편: ○○○@korea.kr
지원분야
실험과제
연구과제
지방소멸대응기금연계과제
과제 성격
산업지원
사회복지
안전/생활 편리
문화/관광
어린이/교육
지역환경개선
마을공동체
추진 배경
•
불법 종자 유통 문제 증가2019년 42건 → 2022년 84건로 인한 규제 필요성 증가.
•
탄소중립 실천과 도시 농업 활성화를 위한 농업 인프라 확충 필요성.
•
농업인의 잉여 종자 처리 어려움과 불법 거래에 대한 인식 부족.
•
농업 종사자 및 일반 시민의 참여를 통한 공공서비스 개선 요구 증대.
주요 고객
핵심 수요자
농업인
•
파종 후 남은 종자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농업 종사자 및 텃밭 운영자
◦
예 | 마을 공동체 텃밭 참여자, 지역 농업기술센터와 연계된 개인 농업인
2차 수요자
도시민 및 일반 주민
•
가정용 텃밭이나 도시 농업에 참여하며 남은 종자를 활용하려는 시민
◦
예 | 학교 및 지역 커뮤니티 가드닝 프로그램 참여자, 탄소중립 실천 캠페인 참여 주민
이해관계자
농업기술센터
•
종자 품질 검사, 사용자 교육 및 씨드박스 관리 지원.
환경단체 및 시민단체
•
홍보 콘텐츠 제작 및 시민 대상 종자 활용 교육 프로그램 운영.
소요 예산
사업 예산
총 3,500만 원
•
종자 서비스 운영비 = N만 원
◦
내년도 예산 확보 예정
•
시민 참여 프로그램 지원 = N만 원
◦
내년도 예산 확보 예정
과제운영 예산
총 2,000만 원
•
국민디자인단 운영비 = N만 원
•
서비스디자이너 용역비 = N만 원
•
정책 홍보비 = N만 원
주요 내용
준비 단계
1-2월
•
국민디자인단 발대 및 구성 완료
◦
국민디자인단 참여자 모집 및 발대식 개최
◦
서비스디자이너, 공무원, 이해관계자 역할 분담
•
기초 데이터 수집 및 리서치 시작
◦
현장 조사 계획 수립 및 이해관계자 인터뷰 진행
문제 탐색 및 정의 단계
3-4월
•
현황 조사 및 데이터 분석
◦
설문조사 및 참여 관찰을 통해 문제 패턴 도출
◦
종자 기부 및 관리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 시각화(친화도맵 작성)
•
문제 정의 워크숍 개최
◦
고객 여정 맵을 활용한 주요 이슈 및 문제 지점 파악
◦
국민디자인단 의견 수렴 및 문제 정의 확정
아이디어 도출 및 프로토타입 개발
5-6월
•
아이데이션 워크숍 운영
◦
문제 정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해결안 발굴
◦
브레인라이팅 및 소그룹 토의 진행
•
해결안 정제 및 프로토타입 제작
◦
선택된 해결안을 시각화하여 프로토타입으로 제작
◦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및 시범 운영 준비
시범 운영 및 피드백 수집
7-8월
•
프로토타입 시범 운영 및 사용자 경험 테스트
◦
이해관계자 대상 파일럿 프로그램 실행 및 평가
◦
사용자의 피드백 수집 및 문제점 보완
평가 및 정책 확산 준비
9-10월
•
정책 성과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사용자 설문조사 및 성과 데이터 분석
◦
최종 보고서 작성 및 정책 성과 발표회 개최
최종 발표 및 확산 전략 수립
11-12월
•
프로세스 매뉴얼 제작 및 배포
◦
정책 확산을 위한 단계별 지침서 및 모듈 제작
◦
공공기관 및 이해관계자 대상 워크숍 및 사례 공유 세미나 개최
향후 계획
프로젝트 회고 및 개선 프로세스
문제 정의 후
•
중간 회고로 국민디자인단과 서비스디자이너, 공무원이 참여하여 진행 상황 및 수집된 데이터 검토
프로젝트 완료 후
•
최종 회고로 정책 개선점 정리 및 최종 보고서 작성
정책 프로그램 모듈화 및 확산 전략
•
문서화 한 서비스디자인 과제 기록을 바탕으로, 유사 문제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정책기획 모델 제안
•
사례집 제작 및 공공기관 공유 포털을 통해 전국 공공기관 배포
행정 절차 및 유지보수 계획
•
해당 사업 운영을 위한 보고체계 및 결재 절차 개선
•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하여 정기 점검 및 개선 논의 실시
지속 운영을 위한 평가 및 협력 구조
•
사용자 참여율, 시민 만족도, 예산 집행 효율성 등 세부 성과 평가 지표 설정해 정기 평가
•
협력 기관의 역할 분담
◦
국립종자원 = 사업 운영 관리
◦
농업기술센터 = 현장 점검 및 종자 관리
◦
서비스디자이너 = 서비스 정기 점검 및 유지보수
기대효과
목표 성과지표
•
종자 기부량 연간 10% 증가
•
불법 종자 거래 신고 건수 10% 감소
•
시민 만족도 80% 이상 유지.
사업 연계 방안
•
국립종자원 및 농업기술센터와 공동 캠페인 및 교육 프로그램 추진
•
환경부 도시농업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공동 프로그램 운영
정책 확산 및 사회적 효과
•
탄소중립 실천 문화 확산 및 종자 폐기물 연간 1톤 감소 효과 기대
•
소속 기관 및 유관 부처 내 유사 과제에 대해 벤치마킹 사례로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