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공공서비스디자인이 뭐에요?

“시민과 함께하는 정책 만들기”

공공서비스디자인은 시민, 공무원, 디자이너가 힘을 합쳐 공공서비스와 정책을 더 좋게 만드는 과정이에요.
이 과정에서는 시민의 이야기를 듣고, 그 의견을 바탕으로 정책과 서비스를 만들어갑니다. 예전에는 공무원들만 정책을 설계했지만, 이제는 시민과 협력해 더 나은 변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공서비스디자인의 특징

함께 만드는 정책

공무원, 시민, 디자이너가 함께 경험과 생각을 나누며 정책을 만들어요. 이를 통해 서로가 행정, 디자인 전문성, 일상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함께 성장합니다.

시민이 공감하는 정책

시민의 실제 필요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과 서비스를 만듭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시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이 탄생합니다.

효과적인 문제해결 기법

관찰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방식(design thinking)을 활용해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아요.

산업서비스디자인 vs 공공서비스디자인

산업서비스디자인 | 1990년대 유럽에서 기업들이 경쟁력과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시작했어요.
공공서비스디자인 | 2000년대 유럽의 복지국가에서 시민의 요구를 더 잘 반영하기 위해 시작되었어요.

2가지 분야의 차이점

구분
산업 서비스디자인
공공서비스디자인
목표
고객 경험 개선과 수익 창출.
시민 생활 개선과 사회적 가치 실현.
자원 활용
민간 자금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목표 달성.
제한된 공공 예산 안에서 자원을 관리.
기술 활용
최신 기술(AI, IoT 등)을 빠르게 도입.
보안 및 윤리 이유로 기술 사용에 법적 제약.
의사결정 속도
기업 내부에서 빠르게 결정.
여러 행정 단계를 거쳐 천천히 결정.
안정성
사업 전략에 맞춰 비교적 일관되게 실행.
정권에 따라 정책 변경 및 중지 가능성.
우선순위
과업 범위 > 시간 > 비용
비용 > 시간 > 과업 범위

공공서비스디자인 잘 해내는 법

문제를 작게 나누기

복잡한 문제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하나씩 해결해야 해요.
예를 들어, "강북구 전체의 주차 문제를 해결한다"는 큰 목표보다는 "주차 문제가 심각한 특정 지역부터 해결한다"로 범위를 좁히는 거예요. 모든 지역을 동시에 해결하려 하기보다, 가장 시급한 곳부터 단계적으로 해결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해요. 이렇게 하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어요.

비용 효율을 고려하기

해결책을 선택할 때는 중요도, 기대효과, 소요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해요.
예를 들어,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해 새 주차장을 건설하는 대신, 비어있는 공간을 임시 주차장으로 활용하거나 시간제 주차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어요. 이런 방식으로 적은 비용으로도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어요.

작은 성공부터 시작하기

한 번에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하지 말고, 작은 성공을 쌓아가는 게 좋아요.
파일럿 프로그램처럼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일정 기간 시행하면서 개선점을 찾아보세요. 실패할 경우의 비용도 미리 계획에 포함시키면,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더 나은 해결책을 찾아갈 수 있어요.

맺으며

공공서비스디자인은 시민과 함께 정책을 만들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무원은 문제를 작게 나누고, 작은 성공을 하나씩 쌓아가며, 협력을 통해 더 큰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런 노력이 모이면, 공공서비스디자인은 시민의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들고 신뢰받는 정책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참여 및 문의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로 문의하세요.
이메일 | pmp@kidp.or.kr
전화 | 031-780-2238 (2218, 2279)
Hyono Cha